[프로그래머스] 같은 숫자는 싫어

ddurru·2024년 4월 15일
0

코딩테스트

목록 보기
1/15

문제 설명

배열 arr가 주어집니다. 배열 arr의 각 원소는 숫자 0부터 9까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때, 배열 arr에서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숫자는 하나만 남기고 전부 제거하려고 합니다.
단, 제거된 후 남은 수들을 반환할 때는 배열 arr의 원소들의 순서를 유지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arr = [1, 1, 3, 3, 0, 1, 1] 이면 [1, 3, 0, 1] 을 return 합니다.
arr = [4, 4, 4, 3, 3] 이면 [4, 3] 을 return 합니다.

제한사항

배열 arr의 크기 : 1,000,000 이하의 자연수
배열 arr의 원소의 크기 : 0보다 크거나 같고 9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

풀이 00

# 제출 시도 
def solution(arr):
    answer = []
    
    for i in arr:
        if answer[-1] == i:
            continue
        answer.append(i)
    
    return answer

위 코드의 경우, answer 리스트가 비어있다면 answer[-1] == i 를 조건으로 사용하는 경우 문제가 발생한다.
즉, 리스트가 비어있을 때 answer[-1]을 호출하면 IndexError가 발생한다.
따라서, answer 리스트에 요소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방법 1 : answer 리스트의 길이가 0보다 클 때만 if answer[-1] == i:와 같은 조건을 검사하는 것
방법 2 : if not answer or answer[-1] != i:와 같은 조건을 사용하여 answer 리스트가 비어있거나 마지막 요소가 현재 요소와 다를 때만 새로운 요소를 추가
# 변경 코드 
def solution(arr):
    answer = []
    
    for i in arr:
        if len(answer) == 0 or answer[-1] != i:
            answer.append(i)
    return answer

풀이 01

def solution(arr):
    answer = []
    last = -1 
    
    for v in arr: 
        if v != last:
            answer.append(v)
        last = v 
    
    return answer

문제에서 제한사항 중, arr의 내부에는 1,000,000 이하의 자연수라고 조건이 주어졌다. 따라서, 자연수는 1부터 시작을 하기 때문에 음수인 -1를 할당하여 비교를 진행한다면 조건에 충족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다시 last 변수에 v값을 할당하도록 하여 iteration을 진행하도록 한다.

풀이 02

def solution(arr):
    answer = []
    for i in arr:
        if answer[-1:] == [i]: 
        	continue
        answer.append(i)
    return answer

a[-1:]은 a 가장 마지막 위치의 데이터를 가져오는 것을 활용하여 값을 list로 만든 것이기에 [i]와 비교를 진행해야 한다.
풀이 00 초반과 비슷해보이지만 00의 경우, 리스트가 비어 있는 경우 IndexError가 발생한다. 리스트에서 -1은 리스트의 마지막 요소를 참조하지만 리스트가 비어 있을 때는 마지막 요소가 없으므로 오류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풀이 02의 경우, answer[-1:]와 같이 슬라이싱을 사용했다. 슬라이싱은 리스트가 비어 있어도 오류를 발생시키지 않고 빈 리스트를 반환한다.


참고

profile
2024.04.15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