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서비스 분류
사용자 : 인터넷 접속을 통해 활동하는 자
제공자 :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 회사 기계실 등 서버를 놓고 고객 또는 내부 직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제공 시 고려사항 : 접속한 구성원 수, 필요한 네트워크의 속도 등
홈 네트워크
인터넷=케이블=모뎀=케이블=공유기=케이블/매체=단말(노트북/스마트폰/태블릿/데스크톱)
- 인터넷 회선(FTTH, 케이블 인터넷, VDSL) 종류에 상관없음
- 모뎀, 공유기, 단말 간에 물리적 연결이 필요
-- 모뎀: 전송선에 디지털 신호를 바로 보내면 신호 전달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컴퓨터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어 전송하고, 아날로그 신호를 받아 디지털 신호로 읽어내는 정보 전달을 위한 신호 변조 송신 및 신호 복조 장치(데이터가 같은 비트로 연속되면 전송특성상 신호 전달에 문제가 발생하므로 전송선의 특성에 맞추어 변조해야 함).
-- 공유기(라우터): WAN포트와 LAN포트로 나뉘어져 있으며 인터넷 망, 회선 혹은 모뎀 등의 인터넷 신호를 WAN으로 받아서 LAN으로 뿌려주는 콘센트 역할을 함(ex. iptime)
홈네트워크의 물리적 연결의 종류
-
무선 연결: 무선 랜 카드와 무선신호를 보낼 수 있는 매체(공기)가 필요
-- 무선 랜 카드: 공유기에서 나온 인터넷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노트북의 랜카드가 고장났을 때 일체형인 메인보드를 뜯어 수리하면 비용이 많이 나오는데, 2~3만원의 무선 랜 카드로 이를 단기적으로 해결할 수 있음)
-
유선 연결: 유선 랜 카드(이더넷 랜 카드: 일반적으로 보드에 내장)와 랜 케이블(랜선)가 필요
-- 유선 랜 카드: 경량화 된 노트북에서 없어진 랜선 포트 대용품으로 인터넷 속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음(바이트 지원 스펙 확인 필요)
-- 랜 케이블: 유선 인터넷 사용을 위한 케이블
데이터 센터 네트워크
- 목표 : 안정적이고 빠른 대용량 서비스 제공
-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양한 이중화 기술 사용
- 많은 서버와 서비스를 위해 높은 통신량 수용 가능해야 함(이를 위해 고속 이더넷 기술 사용됌)
- 가상화 기술과 높은 대역폭을 요구하는 스케일 아웃 기반의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의 등장으로 3계층 디자인에서 2계층 디자인(Spine-Leaf) 구성으로 변화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