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신문스크랩/IT,유통] "더 빠르게 맞춤형 배송 목표"… 물류센터 차별화 `불꽃경쟁`호통신 상용화 '성큼'

지니·2021년 4월 8일
0

경제신문스크랩-IT

목록 보기
17/51

헤드라인

맞춤형 배송, 물류센터 차별화

"더 빠르게 맞춤형 배송 목표"… 물류센터 차별화 불꽃경쟁



본문

기사 링크

네이버, 로봇기술 접목 물류혁신

쿠팡, 신규센터에 1000억대 투자

마켓컬리, 식품물류 전문성 강화

각 사 취합.

국내 이커머스(전자상거래) 시장에서 불꽃 튀는 전쟁이 시작됐다. 지난해 비대면(언택트) 쇼핑시대, 몸집을 키운 네이버, 쿠팡 등이 공격적인 투자에 나서고 있다. 특히 네이버, 쿠팡, 마켓컬리 등이 각각 저마다 차별화된 물류 방식을 선보이면서, 향후 어떤 물류 방식이 배송 분야에서 성공 방정식을 써나갈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커머스 시장 1위업체인 네이버강력한 'IT 기술'을 무기로 다양한 기업들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이커머스 시장에서 시너지를 내고 있다. 특히 네이버는 국내 1위 택배 인프라를 자랑하는 CJ대한통운, 자동화 물류센터 네오를 보유한 신세계그룹과 지분을 교환했고, 지난해에는 딜리셔스, 브랜디 위킵, 두손컴퍼니, FSS 등 다양한 물류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도 연이어 성공했다.

또한 네이버는 SME(중소상공인)와 이용자들에 필수적인 물류 생태계 구축을 위해 CJ대한통운과 친환경 메가물류센터 구축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CJ대한통운의 최대 물류센터인 '곤지암 e-풀필먼트 센터'에 이미 시범 적용 중인 물류 수요 예측 AI(인공지능) 모델 '클로바 포캐스트'도 탑재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이 밖에도 물류센터 자동화를 위한 로보틱스, 자율주행 트럭, 택배 챗봇 시스템 등 네이버의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분야의 협업도 가능해 보인다.

양사가 논의 중인 메가물류센터는 친환경 설비·조명, 자원순환시스템, 친환경 배송차량, 부자재 등이 대거 적용될 예정이다. 또한 네이버는 신세계가 자랑하는 전국 7300여 곳의 오프라인 매장과 최첨단 물류센터 활용도 가능하다. 물류 작업의 80%가 자동으로 이뤄지는 네오는 용인, 김포에서 운영되며, 일 평균 2만 건 이상의 온라인 주문을 소화할 수 있다. 더불어 이마트 점포 물류시설인 PP센터를 거점 삼아 새벽배송, 당일배송, 즉시배송 등을 구체화할 가능성이 높다.

최근 뉴욕 증시 상장으로 실탄을 마련한 쿠팡은 '대규모' 물류 인프라 투자에 역점을 두고 있다. 쿠팡은 지난달 26일 전라북도 완주군과 신규 물류센터 설립을 위한 투자 유치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부지 10만㎡ 규모에 1000억원 이상을 투자할 예정이다. 미국 증시 상장 2주 만에 이뤄진 공격적인 물류센터 투자로, 지역 경제 활성화와 2000여 개의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전국 30여 개 도시에 100여 개의 물류센터를 보유한 쿠팡의 밀집형 통합 물류 시스템은 미국 증시 상장 당시에도 장점으로 꼽혀왔다. 쿠팡은 현재 대구(3200억원), 광주(2240억원), 대전(600억원) 등에 물류센터를 추가로 구축하고 있다.

이에 맞서, 마켓컬리는 지난달 30일 경기 김포물류센터 개장 기자간담회에서 '신선식품 전문' 물류센터의 청사진을 선보였다. 현재 수도권으로 한정된 새벽 배송 지역을 상반기 내로 수도권 바깥까지 확장한다는 전략이다. 마켓컬리 김포물류센터는 서울 장지, 경기 화도, 죽전에 이은 네번째 물류센터로, 국내 신선식품 물류센터 중 가장 규모가 큰 것이 특징이다.

이커머스 업계 관계자는 "최근 물류센터 확보 경쟁은 빠른 배송, 맞춤형 배송 등 다양한 이용자의 수요(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한 필수 불가결한 투자"라며 "AI 수요 예측, 친환경 설비, 첨단 물류 장비, 자동화 시스템 등 다양한 신기술들이 접목된 물류센터 등장으로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라고 밝혔다.



본문의 근거

  1. 이커머스 시장 1위업체인 네이버

  2. 국내 1위 택배 인프라를 자랑하는 CJ대한통운

  3. 네이버는 신세계가 자랑하는 전국 7300여 곳의 오프라인 매장과 최첨단 물류센터 활용도 가능

  4. 물류 작업의 80%가 자동으로 이뤄지는 네오는 용인, 김포에서 운영되며, 일 평균 2만 건 이상의 온라인 주문을 소화할 수 있음

  5. 이번 협약에 따라 부지 10만㎡ 규모에 1000억원 이상을 투자할 예정

  6. 미국 증시 상장 2주 만에 이뤄진 공격적인 물류센터 투자로, 지역 경제 활성화와 2000여 개의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

  7. 현재 전국 30여 개 도시에 100여 개의 물류센터를 보유한 쿠팡의 밀집형 통합 물류 시스템은 미국 증시 상장 당시에도 장점으로 꼽힘

  8. 쿠팡은 현재 대구(3200억원), 광주(2240억원), 대전(600억원) 등에 물류센터를 추가로 구축하고 있음



추가 조사 할 내용/결과

국내 이커머스 시장

네이버

국내 굴지의 포털을 기반으로 검색과 쇼핑을 연결하는 온라인 플랫폼 역할

  • 네이버가 가지지 못하는 물류와 오프라인 점포는 다른 회사와 협력
    • CJ 대한통운
      • ‘클로바 포캐스트(Forecast)’를 자체 개발해 CJ대한통운의 최대 물류센터인 ‘곤지암 e-풀필먼트 센터’에 시범 적용 중
      • 네이버가 보유한 방대한 쇼핑 데이터와 AI 기술력으로 물류 수요예측 모델 제작
    • BFG 리테일
    • 위킵·브랜디·FSS 등 풀필먼트 관련 스타트업에 약 270억 원을 투자
  • 자체 전략
    • '빠른 정산 서비스'
      • 스마트스토어의 중소상공인(SME)에게 배송완료 다음날 구매 대금을 전액 지급
      • ‘위험탐지시스템(Fraud Detection System)’의 고도화
      • 글로벌 이커머스 업계 최초

쿠팡

로켓배송으로 대변되는 물류 플랫폼이 성장의 디딤돌

  • 뉴욕 증시 상장을 계기로 막대한 투자금 유치 가능
  • 이 투자금을 바탕으로 미국의 아마존처럼 쇼핑부터 배송·배달, 콘텐츠 사업 등 다방면으로 영역 확장에 나설 전망
  • 자체 전략
    • 로켓배송 상품에 대해 ‘무조건 무료배송’ 서비스를 시작
    • 쿠팡이츠 : 건당 배달비(6000원)까지도 일부 부담
      • 배달 서비스 시장도 뒤흔들고있음

주요 유통업체변 경쟁력 확보 전략

  • 쿠팡에서 시작된 풀필먼트 혁신이 특정 업체만의 차별화된 경쟁력이 아니라 이제는 유통 산업의 핵심이자 기본적으로 갖춰야 할 역량으로 부상

  • 물류와 관련된 시설 역시 최근 빠른 속도로 많아짐

    • 물류창고업으로 등록된 국내 물류시설의 수 : 지난 2018년 260여 곳 -> 지난해 736여 곳으로 약 3배 가까이 증가
    • 유통 업체가 상품을 직매입해 보관·판매하는 시설은 포함되지 않아 실제 물류와 관련된 시설은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
  • 대형 물류 센터를 통해 ‘하루에 배송할 수 있는 물량(CAPA)’이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이용자들의 만족도 증가

    • 이는 거래량 증가로 이어져 플랫폼의 경쟁력 확보에 가장 큰 영향

기존 대형 유통업체

대규모 물류센터 설립보다는 오프라인 매장을 물류센터를 PP센터로 활용

피킹&패킹(PP)센터 : 일반 매장과 고객이 상품을 온라인으로 주문했을 때 직원들이 직접 분류하고 배송 차량에 싣음

  • SSG닷컴의 '네오센터'

    • 올해 이마트 점포 리뉴얼을 통해 PP센터를 확대

    • 온라인 전용 물류센터인 ‘네오센터’ 추가 건립

    • 이를 통해 현재 13만 건에 불과한 하루 배송 물량을 오는 2025년까지 최대 36만 여 건으로 확대 예정

  • 홈플러스

    • 전국 253개 홈플러스 익스프레스 직영점을 통해 ‘전국 1시간 배송’이 가능한 서비스 운영

풀필먼트

상품을 보관·포장·출하·배송하는 전 과정

  • 주문이 들어오면 대형 물류센터에서 바로 상품을 배송 ->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음
  • 대형 물류센터에서 인공지능(AI)를 활용해 다양한 상품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에도 용이



요약 및 의견

네이버 + CJ 대한통운 + 신세계 = IT 기술 + 물류 + 오프라인 매장

마켓컬리, 쿠팡 = 물류 센터 증설

국내에서도 타 업체는 따라갈 수 없는 물류 시스템을 갖춘 쿠팡과 포털을 등에 업은 네이버가 이커머스 시장의 절반 이상의 점유율을 가질 것으로 예상 (추가로 카카오 정도..?)

이커머스는 단순히 상품 구매/중개를 넘어서 검색이나 물류 등 ‘나만’ 할 수 있는 킬러 콘텐츠가 있어야 성공할 수 있을 듯

이전에는 이용자들이 보다 저렴하고 좋은 상품을 얼마나 잘 찾을 수 있게 할지 초점을 맞춰졌다면, 이제는 다양한 상품을 얼마나 빠르고 효율적으로 배송할 수 있는지가 더 중요해지고 있다



적용할 점

  • 물류 센터 관점에서 새로 증설/확장과 PP센터 활용 중 자사 상황에 맞는 전략은 무엇인지



연관 기사 링크

플랫폼의 힘…이커머스 전쟁 승부 갈랐다

네이버 ‘빠른정산’ 확대, 쿠팡과 차별화

'봉진이형도 고민'…쿠팡, '돈의 힘' 앞세워 네이버·배민 정조준

CJ대한통운, 지그재그에 e-풀필먼트 서비스 제공...배송시간이 최대 3일 단축 기대

전국을 '로켓 배달권'으로...'풀필먼트 확장'에 사활 걸었다

"쇼핑 공간이자 물류센터"… 이마트의 점포 활용법

한성숙 대표 주주서한으로 보는 네이버 물류의 가까운 미래

profile
코.빠.죄.아 (코딩에 빠진 게 죄는 아니잖아..!)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