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stJS] Introduction

욱이로그·2022년 9월 11일
0
post-thumbnail

본 포스팅은 NestJS 공식문서인프런 '탄탄한 백엔드 NestJS, 기초부터 심화까지' 강의를 참고해서 작성한 게시물입니다.

NestJS 공식문서
탄탄한 백엔드 NestJS, 기초부터 심화까지 인프런 강의


🎈 NestJS란?

NestJS는 효율적이고 확장 가능한 Node.js 서버 측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기 위한 프레임워크이다.

  • 기존 expresss는 아주 쉽게 서버를 만들 수 있지만 디자인 패턴 측면에서 지원하는 것이 거의 없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나온 프레임워크가 NestJS다.
  • TypeScript를 Native로 지원하기 때문에 TypeScript에서 사용하기 편리하고 데코레이터 클래스를 통해서 다양한 기능을 정형화하여 설계할 수 있다.
  • CLI를 통해 보일러플레이트 코드를 생성하여 간단하게 프로젝트를 시작할 수 있다.

🎈 설치

NestJS는 React와 동일하게 CLI를 통해 보일러플레이트 코드를 사용해서 프로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공식문서에서는 npm을 사용하지만 다른 패키지 매니저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해당 포스팅에서는 npm을 사용하도록 하겠다.

npm i -g @nestjs/cli
nest new '프로젝트 이름'

명령어를 실행하고 나면 해당 디렉토리 구조가 생성된다.

src
 | main.ts   # 앱의 시작점
 | app.module.ts   # 앱의 루트 모듈
 | app.controller.ts   # 앱의 컨트롤러
 | app.controller.spec.ts   # 앱의 컨트롤러에 대한 단위 테스트
 | app.service.ts   # 앱의 서비스

🎈 디렉토리 구조

main.ts

import { NestFactory } from '@nestjs/core';
import { AppModule } from './app.module';

async function bootstrap() {
	const app = await NestFactory.create(AppModule);
  	await app.listen(3000);
}
bootstrap();

NestFactory 클래스를 사용해서 AppModule 클래스를 받아와 app을 만들어준다.
이후 express와 동일하게 listen 메서드를 이용해서 지정해준 포트번호를 열어준다.

app.module.ts

import { Module } from '@nestjs/common';
import { AppController } from './app.controller';
import { AppService } from './app.service';

@Module({
	imports: [],
  	controllers: [ AppController ],
  	providers: [ AppService ],
})
export class AppModule {}

직접 커스텀한 Controller, Service들을 app.module에서 AppModule로 묶어 export한 뒤에 NestFactory에서 받아와 서버를 구축하는 것이다.

app.controller.ts

import { Controller, Get } from '@nestjs/common';
import { AppService } from './app.service';

@Controller()
export class AppController {
	constructor (private readonly appService: AppService) {}
  
  	@Get()
  	getHello(): string {
    	return this.appService.getHello();  
    }
}
  • AppService의 getHello 메서드에서 결과값을 받아와 클라이언트에 response 전달
  • return이 express의 res.send와 동일하다고 생각하면 된다.
  • constructor에서 AppService를 바로 호출해서 사용한다. 원래라면 생성자 내에서 this.appService = appService 이런 형태로 코드를 작성할 것이다. 위의 코드 형태가 의존성 주입이 적용된 코드 형태라고 한다. 자세한 내용은 추후 포스팅에서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 Controller는 express의 route 기능을 대신한다고 생각하면 좋다.
    (@Get, @Post, @Put, @Delete, @Patch 등의 HTTP Method 정의)

app.service.ts

import { Injectable } from '@nestjs/common';

@Injectable()
export class AppService {
  getHello(): string {
    return 'Hello World!';
  }
}
  • Service에서는 비즈니스 로직이 실행되고 난 뒤의 결과값을 Controller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 @Injectable은 의존성 주입에 관한 데코레이터인데 자세한 내용은 추후 포스팅에서 정리하도록 하겠다!

🎈 최종 구조


NestJS는 분리할 수 있는 기능들을 Module로 정의해서 동작한다. 각 Module에는 Provider와 Controller가 들어가게 된다.
분리한 Module들은 최종적으로 AppModule에 모여 하나의 app이 구축된다.

확실히 express 보다 코드가 체계적이고 디자인 패턴이 잘 적용되어 있어서 코드 유지보수가 훨씬 편할 것 같다고 생각된다.


🎈 Reference

공식문서만으로는 이해가 힘들어 아래 블로그 링크를 많이 참고했습니다.

https://velog.io/@kimjeongwonn/NestJS-%EB%8F%85%ED%95%99-%EC%86%8C%EA%B0%9C

profile
뭐든 해보고싶은 개발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