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모바일앱 품질요인이 이용자의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시스템성공모형과 기대일치모형의 통합적 접근

이카루스·2025년 5월 20일
0

논문리뷰

목록 보기
34/34
post-thumbnail

📑 논문 기본 정보

  • 논문 제목: 병원모바일앱 품질요인이 이용자의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시스템성공모형과 기대일치모형의 통합적 접근
  • 저자 정보:
    • 1저자: 김민수
    • 공동저자: 윤상혁, 이새봄
    • 교신저자: 양성병
  • 게재지: 서비스연구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 발행년도: 2023년 3월
  • DOI: https://doi.org/10.18807/jsrs.2023.13.1.076
  • 연구 분야: 디지털 헬스케어, 정보시스템, 사용자 행동
  • 주요 키워드: 병원모바일앱, 지속이용의도, 정보시스템성공모형(ISSM), 기대일치모형(ECM), 품질요인

💭 연구의 본질 파악

🤔 근본적 질문

  • 이 연구는 왜 필요했는가?
    • 학문적 필요성: 병원모바일앱 이용률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기존 기술적 관점뿐 아니라 인지적 관점에서도 통합적으로 분석할 필요성.
    • 실무적 필요성: 병원 앱 이용률이 저조한 이유를 진단하고 서비스 개선을 위한 전략적 인사이트를 제공.
    • 사회적 필요성: 스마트병원과 디지털 헬스케어 확산에 발맞춘 환자 중심 서비스 개선 요구.
  • 왜 지금 이 연구가 수행되었는가?
    • 시기적 배경: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의료서비스 확산.
    • 환경적 맥락: 병원 앱 사용 증가에도 불구하고 만족도와 지속이용률이 낮음.
    • 학문적 흐름: 기술수용모형을 넘어 사용 이후 행동 예측이 가능한 기대일치모형 적용 필요.

🎯 연구 동기

  • 연구자는 무엇을 해결하고자 했는가?
    • 해결하고자 한 문제: 병원모바일앱의 낮은 지속이용률 원인 규명.
    • 기존 접근의 한계: 앱 개발 기술 중심 연구가 주류.
    • 새로운 접근의 필요성: 사용자 인식(기대일치, 만족, 유용성)을 반영한 통합모형 필요.
  • 이 연구 주제를 선택한 이유는 무엇인가?
    • 연구 갭 분석: 병원앱에 대한 행동지속 요인을 실증한 통합모형 연구 부재.
    • 기존 연구와의 관계: ISSM 및 ECM을 개별 적용한 연구는 존재하나 통합적 실증은 드묾.
    • 연구자의 관점: 기술·인지 통합이 앱 지속사용 행동을 설명하는 데 가장 효과적이라 판단.

📚 이론적 프레임워크 분석

🔍 이론 선택의 배경

  • 왜 이 이론을 선택했는가?
    • ISSM: 병원앱의 품질적 측면(정보/시스템/서비스/디자인) 설명 가능.
    • ECM: 기대일치, 인지된 유용성, 만족도 → 지속이용의도 흐름 설명에 적합.
    • 이론의 적합성: 각각 기술적, 인지적 요인을 설명하며 통합 시 시너지를 기대.

📖 핵심 개념 심층 분석

개념정의선택 이유기존 연구와의 차이
품질요인정보/시스템/서비스/디자인 품질정보시스템성공모형 기반디자인 품질 포함은 최근 흐름 반영
기대일치기대 vs. 실제 사용 경험 일치 정도사용 후 행동 예측력 높음병원앱 맥락에서의 첫 적용 중 하나
인지된 유용성앱이 목적 달성에 유용하다고 인식하는 정도행동 지속성과 직접 연관후행변수와 함께 매개변수로 설정
만족도사용 경험에 대한 전반적 만족 수준행동 결정의 감정적 요인기존 연구와 구조 유사하나 변인 구성이 다름

🔬 연구 설계 심층 분석

📊 방법론적 선택

  • 방법론: 구조방정식모형(SEM, SmartPLS)
  • 표본: 병원모바일앱 사용 경험 있는 국내 성인 181명
  • 정당성: 정형화된 설문 척도 기반, 신뢰도/타당도 확보

💡 분석 전략

  • 왜 이러한 분석 방법을 사용했는가?
    • 다양한 매개변수 간 관계를 종합적으로 분석 가능.
    • 품질요인 → 인지 변수 → 행동의도 경로 검증에 적합.
  • 한계: 단일 설문 기반이므로 인과관계 명확성에는 한계 존재.

📊 결과의 의미 탐구

🔍 발견사항 해석

  • 결과 요약:
    • 정보품질·디자인품질 → 기대일치 유의
    • 인지된 유용성에는 정보·시스템·서비스품질 유의
    • 만족도는 정보·서비스·디자인품질에 의해 영향
    • 기대일치 → 유용성/만족도 → 지속이용의도
  • 잠재적 설명:
    • 기능의 성능보다 정보 전달력 및 디자인이 초기 기대 형성에 중요.
    • 시스템 안정성보다 ‘감정적 만족’을 유도하는 요인이 재사용 의도와 직결됨.

💭 결과의 한계

  • 한계 요약:
    • 수도권 성인 표본의 일반화 가능성 제한.
    • 환자/보호자 구분 미흡.
    • 병원앱 외부 요인(의료진 추천, 사회문화요인 등) 미포함.

🌟 연구의 가치 평가

💫 학문적 기여

  • ISSM과 ECM의 통합적 분석 프레임 제시
  • 병원앱이라는 특수 맥락에서 실증 연구 수행
  • 디자인 품질까지 포함한 품질요인의 확장 분석

🔄 향후 연구 방향

  • 다양한 연령대 및 사용자 유형 간 차이 분석
  • 병원 내부 요인(의료진 커뮤니케이션, 진료 품질 등) 통합 모형 확장
  • 실험 기반 사용자 행동 추적 연구 필요

📝 개인적 학습과 통찰

🎓 학술적 성장

  • 정보시스템 품질 요인의 다차원성 이해
  • 기대일치모형의 후행 변수로서 유용성과 만족의 역할 인지
  • 병원 앱이라는 특수 서비스 환경에서 사용자 행태 분석

💡 연구 아이디어

  • AI 기반 병원앱 추천 시스템: 기대일치도 예측 기반 개인화 설계
  • 병원앱에 챗봇 인터페이스 결합 시 만족도·지속이용의도 변화 실험

✍️ 종합적 성찰

  • 가장 중요한 교훈:
    • 시스템 성능만큼 ‘인지된 경험’이 지속이용의 핵심 결정요인
  • 후속 연구자로서 주목해야 할 점:
    • 사용자 세분화를 통한 행동메커니즘 차별화
profile
The ones who are crazy enough to think that they can change the world are the ones who do."(steven Jobs, 2015). 세상을 바꾸는 '미친' 아이디어를 찾아내 세상을 바꾸고자 하는 AI 연구자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