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 평문을 암호문으로 바꾸는 것.
복호화: 암호문을 평문으로 바꾸는 것.
암호문: 비밀을 유지하기 위해 당사자만 알 수 있도록 꾸민 약속 기호
평문: 누구나 알 수 있게 쓴 일반적인 글
알파벳 한 글자를
다른 하나의 글자
로 대체하는 방식
- 시저 암호화
알파벳 스물여섯 자를 세 자 또는 네 자씩오른쪽으로 이동
한 뒤 해당되는 글자로 변환하여 암호화하는 것.
암호화가 가능한경우의 수가 26
에 불과한 매우 취약한 방식- 모노 알파베틱 암호화
알파벳 스물여섯 자를 각각 다른 알파벳에대응
시켜 알파벳을 암호화하는 것.
복호화하려면알파벳 대칭표
가 필요함.
단일 치환 암호와는 키워드를 몰라도 복호화가 가능
하다.
빈도 분석법
을 이용해 알파벳의 빈도를 계산해서 통계와 비교해 알파벳을 유추해낼 수 있음.
암호화 키
와의 매핑에 따라 알파벳 하나가여러 가지 다른 알파벳
으로 대체되어 암호화 되는 것
- 비즈네르 암호화
26x26의 알파벳 대칭표
를 이용하여 암호화하고자 하는평문과 암호화 키를 매핑
하고 암호화와 복호화를 수행하는 방식
단순한 빈도 분석법으로는 암호문을 풀 수 없음 (키 값에 따라 암호문 치환 결과가 달라지기 때문)
평문의 문자는 가로축
,암호화 키의 문자는 세로축
에서 찾아서 대응되는 문자로 대체- 플레이페어 암호화
2개로 이루어진 문자 쌍
을 다른 문자 쌍으로 대체하는 암호화 방법.
보통정사각형 암호판
안에 영어 알파벳을 배열한 것으로 대체하는 방식.
암호화할 때 쓰는 키와 복호화할 때 쓰는 키가 같은 것.
64비트의 블록 암호화 알고리즘
으로56비트 크기의 암호화 키
로 암호화함.
DES의 복호화가 가능해짐에 따라 AES가 나오기 전까지
임시
로 사용한 암호화 알고리즘
암호와 및 복호화 과정에서 DES와 달리2개의 암호화 키
를 사용
DES의 암호화 강도가 점점 약해지면서 새롭게 개발된 것.
128비트 암호화 블록
전자 상거래, 금융, 무선통신 등에서 전송되는 중요한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한국인터넷진흥원과 국내 암호 전문가들이
순수 국내 기술
로 개발한128비트 블록
의 암호화 알고리즘
국가보안기술연구소
주도로 개발
2004년 국자표준기본법에 의거하여국가표준
으로 지정
AES 알고리즘과 마찬가지로128/192/256비트 암호화 키
를 지원
BB84
프로토콜: 양자 채널로 송신자와 수신자가 암호화 키를 공유하게 하는 프로토콜
광자 하나하나의 단위로 신호를 실어 나름.
양자역학의복제 불가능성 원리
와측정 후 붕괴
라는 특이한 현상을 이용
단일 광자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기회가단 한 번
으로 제한
- IDEA 알고리즘
- RC5 알고리즘
- Skipjack 알고리즘
- LEA 알고리즘
암호화할 때 쓰는 키와 복호화할 때 쓰는 키가 다른 것.
암호화 키
와 복호화 키
가 한 쌍을 이룸
비대칭 암호화 알고리즘 중에서 가장 많은 지지를 받으며 오늘날
산업 표준
으로 사용됨.
기본적인 정수론,소수를 이용함
.
중요 정보를소수 2개
로 표현한 후두 소수의 곱
을 힌트와 함께 전송하여 암호로 사용하는 것
각 사람마다
공개 키
와개인 키
를 하나씩 가지고 있음.
- 기밀성
수신자의 공개 키
로 암호화 /수신자의 개인 키
로 복호화
수신자의 개인 키를 가진 사람만 내용을 볼 수 있음.- 부인 방지
발신자의 개인 키
로 암호화 /발신자의 공개 키
로 복호화
발신자의 개인 키를 가진 사람이 암호화한 것을 증명
하나의 문자열을
고정된 길이
의 값이나 키로 변환하는 것.
정보의 위조, 변조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정보의 무결성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됨.
해시되기 전의 값을 해시 값으로 추측하기가 불가능함.
충돌: 다른 값의 데이터를 입력하더라도 해시 결과 값이 같을 수 있는 상황
해시가 완전히 똑같은 데이터만 해시 값이 같고 조금만 달라도 해시 값이 전혀 다르다는 점을 이용하여 데이터가 임의로 변경되지 않았다는
데이터 무결성을 확인하기 위한 도구
로 사용
MD
RSA와 함께 개발된 것으로 MD2, MD4, MD5 가있음.SHA
160비트
의 값을 생성하는 해시 함수
MD5보다 조금 느리지만 좀 더 안전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SHA에 입력하는 데이터는512비트
크기의 블록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