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S는 도메인 이름 시스템 Domain Name System으로,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바꿔준다.
구성 요소 | 설명 | 예시 |
---|---|---|
ICANN | - 전 세계 도메인 이름 시스템 총괄 관리 - 새로운 최상위 도메인(TLD) 승인 및 관리 | |
레지스트리 | - 각 최상위 도메인 관리 - 도메인 데이터베이스 유지 및 관리 | Verisign (.com, .net 관리) |
레지스트라 | - ICANN 인증 도메인 등록 대행 업체 - 사용자에게 도메인 구매 및 등록 서비스 제공 | GoDaddy, Namecheap |
WHOIS 데이터베이스 | - 등록된 모든 도메인의 정보 포함 - 도메인 소유자, 등록/만료 일자 등 정보 제공 | |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 (ccTLD) | - 각 국가별로 관리되는 도메인 - 해당 국가의 관리 기관에서 관리 | .kr (한국), .jp (일본) KISA(한국인터넷진흥원, .kr 관리) |
구성 요소 | 역할 | 예시 |
---|---|---|
리졸버 (Resolver) | - 클라이언트의 DNS 쿼리를 받아 처리 - 다른 DNS 서버에 추가 쿼리를 보내 최종 응답을 획득 - 결과를 캐시하여 future 쿼리의 속도 향상 | ISP가 제공하는 DNS 서버 |
루트 서버 (Root Server) | - DNS 계층 구조의 최상위에 위치 - TLD 서버의 IP 주소 정보 제공 - 전 세계에 13개의 루트 서버 그룹 존재 | a.root-servers.net, b.root-servers.net, ... |
TLD 서버 (Top-Level Domain Server) | - 특정 TLD(.com, .org 등)에 대한 정보 관리 - 해당 TLD 내의 권한 있는 네임 서버 정보 제공 | .com TLD 서버, .org TLD 서버 |
권한 있는 네임 서버 (Authoritative Name Server) | - 특정 도메인에 대한 최종적인 DNS 정보 보유 - 도메인의 IP 주소 등 실제 레코드 정보 제공 | example.com의 네임 서버 |
참고 사이트: https://howdns.works/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