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lder 앞의 화살괄호 > (dirty) : 이 폴더 안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일이 dirty 하다. 즉 이 리소스 하위에 인덱스와 레포지터리에 추가되지 않은 변화가 있다. 레포지터리에 이미 푸시된 파일에 새로운 수정이 있으나 커밋.푸시되지 않았다.
노란 저장소 아이콘 (tracked) : Git 레포지터리에 리소스가 저장(추적)되어있다. 커밋.푸시의 완료 후, 로컬에서 작업상태와 레포지터리 상태가 동일하다.
물음표 (untracked) : Git 레포지터리에 리소스가 없다. 새로운 파일을 생성했을 경우이다.
아이콘 없음 (ignored) : .gitignore 파일 안에 명시된 파일이나 폴더, 파일 우클릭 메뉴에서 Team->ignore, 또는 preference->Team->Ignored Resources 에서 설정되어 있는 패턴에 해당된다. Git이 인식하지 않는 리소스이다.
file 앞의 화살괄호 > (dirty) : 이 리소스 하위에 인덱스와 레포지터리에도 추가되지 않은 변화가 있다. 레포지터리에 이미 푸시된 파일에 새로운 수정이 있으나 커밋.푸시되지 않았다.
별표시 * (staged) : 해당 리소스의 수정사항이 인덱스에 추가되었다. 수정사항을 인덱스에 추가하는 일은 커밋 다이얼로그 작성 시에만 가능한 것은 아니다.
별표시와 화살괄호 * > (partially-staged) : 해당 리소스에 수정사항이 인덱스에 추가되었고, 추가로 인덱스와 레포지터리에도 추가되지 않은 변화가 있다.
더하기 표시 + (added) : 해당 리소스가 아직 추적되고 있진 않지만 (전 버전이 없다) 인덱스에 추가되었다. (커밋.푸시된 이후에 수정하고 인덱스에 추가하면 *가 표시된다)
엑스 표시 x (removed) : 해당 리소스가 로컬 디렉토리에서 삭제되면서 버전이 변경되었다. 이 표시는 프로젝트 구조가 아닌 Git staging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다.
빨간 마름모, 경고등 표시 (conflict) : 이 파일에 merge 충돌이 있다.
파란 체크 표시 ✓ (assume-valid) : 더 이상의 수정사항, 버전 변경이 없을 예정이라는 표시이다. 이는 Git이 더 이상 이 리소스의 하위에서 생길 수 있는 수정 사항을 기록하지 않고, 만약 수정사항이 있을 경우엔 사용자가 직접 Git 세팅을 바꿔야한다. 프로젝트 메뉴에서 Team ->Assume unchanged를 통해 세팅을 바꿀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