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에 Git 사용법에 대해 작성했는데 이번에는 팀 프로젝트 관리에 대해 작성해보려 한다.
사실 Git 협업을 검색하면 엄청나게 많은 글들과,,, 뭐라고 하는지 모르겠는 말들이 정말 많아서 너무 힘들었는데 기본은 생각보다 별거 없었던 git 협업,,,
우선 github에서 레포지토리를 하나 생성해준다. 그리고 함께 작업할 사람을 공동작업자로 추가해주면된다. 이때 뭐 공동작업자가 어디까지 작업을 허용하게 해줄지 등등 규칙 설정도 할 수 있다고는 하는데,, 그런 것 까지는 제대로 터득하지 못했다.
일단 나는 VS code에서 작업을 했다.
VS code자체에도 git clone탭이 있기는 하다 아마 그냥 이걸 사용해도 되는 것 같긴한데 나는 터미널에서 명령어를 작성해서 할 것이다.
우선 내 컴퓨터에 아무 폴더나 하나 만들어 준 후 VS code에서 폴더를 열어준다
그리고 여기서 git clone {git repo 주소} 를 입력해서 cloning을 해준다
그리고 package.json 파일이 있는 폴더로 들어가(cd {파일명}) npm install을 해주면 package.json파일을 읽어 node_modules파일이 설치된다.
이렇게 받아온 코드들을 수정하면 add-commit-push를 해주면되고,
https://velog.io/@ij_nim/Git-%EC%97%B0%EB%8F%99%ED%95%98%EA%B8%B0
-> 참고!
수정사항은
git pull origin main으로 받아오면 된다.
이때 git을 사용하는 이유 중 하나인 버전 관리의 명령어를 설명해보면,
git log 명령어를 입력하면 커밋 내역이 쭉 뜨는데 이때,
commit옆에 커밋의 고유 아이디가 뜨는걸 볼 수 있다. 이 것을 복사하고
git reset --hard {커밋고유아이디}를 입력해주면 해당 커밋 코드를 불러와서 테스트 해볼 수 있다. (※단, --hard는 자주 쓰지 않는 것이 좋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