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매일 알고리즘 연습(1) - 124 나라의 숫자

jayden·2021년 12월 7일
0

알고리즘

목록 보기
1/22

요즘 머리가 안 굴러가는 느낌이 있으니 꾸준히 알고리즘 연습 시작!

알고리즘 문제 링크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899?language=javascript

문제

124 나라의 숫자
문제 설명
124 나라가 있습니다. 124 나라에서는 10진법이 아닌 다음과 같은 자신들만의 규칙으로 수를 표현합니다.
124 나라에는 자연수만 존재합니다.
124 나라에는 모든 수를 표현할 때 1, 2, 4만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서 124 나라에서 사용하는 숫자는 다음과 같이 변환됩니다.
10진법 124 나라 10진법 124 나라
1 1 6 14
2 2 7 21
3 4 8 22
4 11 9 24
5 12 10 41
자연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n을 124 나라에서 사용하는 숫자로 바꾼 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n은 500,000,000이하의 자연수 입니다.

해결코드

function solution(n) {
  let answer = "";
  
  // 1. 3진수 [0,1,2] 와 비슷한 방식에서 0이 4로 대체된 차이로 인해 아래와 같이 배열선언
  const countryNumberList = [4, 1, 2]; 
  while(n > 0){
    const remainder = n % 3;
    
    // 2. 3의 배수인 경우, 몫을 하나 뺌
    n = parseInt(n / 3) - (n % 3 === 0 ? 1 : 0);
    
    // 3. 나머지는 기존 결과값 앞문자열에 추가
    answer = `${countryNumberList[remainder]}${answer}`;
  }
  return answer;
}

추가설명

3진수 전환을 기본 베이스로 놓고 문제 해결 시도!

주석 1)
3진수 [0, 1, 2], 문제에서 제시된 진수 [1, 2, 4] 에서
차이점은 3진수의 0 과 문제진수의 4 의 값 자체와 자릿수가 넘어갈 때 시작하는 값의 차이를 찾을 수 있다.
n 을 3으로 나눈 나머지값으로 3진수 값을 가져오듯이, 문제에서 제시된 진수에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가져오기 위해서
04 를 교체한 후 [4, 1, 2]로 배열을 선언한다.

주석 2)
주석1) 에서 말한 차이점에서 자릿수가 넘어갈 때 시작하는 값의 차이를 해결하는 부분이다.
3진수의 경우 3의 배수일 경우 자릿수가 넘어간다. ( 3: 10, 6: 20, 9: 100)
문제에서 제시된 진수의 경우 3의 배수 + 1 일 경우 자릿수가 넘어간다. ( 3: 4, 4: 11, 7: 21)
그렇기 때문에 3의 배수일 때, 자릿수가 넘기지 않기 위해서 몫 1을 빼준다.

주석 3)
몫이 3이상인 경우에 나눈 후 나머지는 완성된 자릿수에서 작은 자릿수부터 채워나가고, 몫으로 위 과정을 반복하면서 진수가 완성된다. (참고: while 문을 빠져나가는 조건이 n > 0 인 것과도 연관됨)

이해를 위한 예시)
arr = [4, 1, 2]
n = 14
14 / 3 = 4 ... 2 -> 나머지 2를 이용 -> arr[2] -> "2"

남은 몫 4를 위의 과정을 반복
n = 4
4 / 3 = 1 ... 1 -> 나머지 1를 이용 -> arr[1] -> "1" + "2" (기존 완성된 진수값)

n = 1
1 / 3 = 0 ... 1 -> 나머지 1를 이용 -> arr[1] -> "1" + "12" (기존 완성된 진수값)

n = 0
while 문 탈출!!! 결론 --> "112"

잡담

오랜만에 풀어보는 알고리즘이라 생각보다 술술 풀리지 않아서 답답했고, 코딩으로 푸는 것과 이해하기 쉽게 글로 풀어서 작성하는 과정은 또 다른 문제로 다가왔다.

profile
안녕하세요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