꾸준히 알고리즘 연습(19) - 튜플

jayden·2022년 1월 9일
0

알고리즘

목록 보기
19/22

민망할 정도로 빨리 풀렸다..

알고리즘 문제 링크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64065

문제

튜플
문제 설명
셀수있는 수량의 순서있는 열거 또는 어떤 순서를 따르는 요소들의 모음을 튜플(tuple)이라고 합니다.
n개의 요소를 가진 튜플을 n-튜플(n-tuple)이라고 하며,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a1, a2, a3, ..., an)
튜플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중복된 원소가 있을 수 있습니다. ex : (2, 3, 1, 2)
원소에 정해진 순서가 있으며, 원소의 순서가 다르면 서로 다른 튜플입니다. ex : (1, 2, 3) ≠ (1, 3, 2)
튜플의 원소 개수는 유한합니다.
원소의 개수가 n개이고, 중복되는 원소가 없는 튜플 (a1, a2, a3, ..., an)이 주어질 때(단, a1, a2, ..., an은 자연수), 
이는 다음과 같이 집합 기호 '{', '}'를 이용해 표현할 수 있습니다.

{{a1}, {a1, a2}, {a1, a2, a3}, {a1, a2, a3, a4}, ... {a1, a2, a3, a4, ..., an}}
예를 들어 튜플이 (2, 1, 3, 4)인 경우 이는

{{2}, {2, 1}, {2, 1, 3}, {2, 1, 3, 4}}
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때, 집합은 원소의 순서가 바뀌어도 상관없으므로

{{2}, {2, 1}, {2, 1, 3}, {2, 1, 3, 4}}
{{2, 1, 3, 4}, {2}, {2, 1, 3}, {2, 1}}
{{1, 2, 3}, {2, 1}, {1, 2, 4, 3}, {2}}
는 모두 같은 튜플 (2, 1, 3, 4)를 나타냅니다.

특정 튜플을 표현하는 집합이 담긴 문자열 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s가 표현하는 튜플을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s의 길이는 5 이상 1,000,000 이하입니다.
s는 숫자와 '{', '}', ',' 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숫자가 0으로 시작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s는 항상 중복되는 원소가 없는 튜플을 올바르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s가 표현하는 튜플의 원소는 1 이상 100,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return 하는 배열의 길이가 1 이상 500 이하인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집니다.

[입출력 예]
s					result
"{{2},{2,1},{2,1,3},{2,1,3,4}}"		[2, 1, 3, 4]
"{{1,2,3},{2,1},{1,2,4,3},{2}}"		[2, 1, 3, 4]
"{{20,111},{111}}"			[111, 20]
"{{123}}"				[123]
"{{4,2,3},{3},{2,3,4,1},{2,3}}"		[3, 2, 4, 1]

입출력 예에 대한 설명

입출력 예 #1
문제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문제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3
(111, 20)을 집합 기호를 이용해 표현하면 {{111}, {111,20}}이 되며, 이는 {{20,111},{111}}과 같습니다.

입출력 예 #4
(123)을 집합 기호를 이용해 표현하면 {{123}} 입니다.

입출력 예 #5
(3, 2, 4, 1)을 집합 기호를 이용해 표현하면 {{3},{3,2},{3,2,4},{3,2,4,1}}이 되며,
이는 {{4,2,3},{3},{2,3,4,1},{2,3}}과 같습니다.

해결코드

function solution(s) {
    // 맨처음과 마지막은 정규식을 위해서 제거
    const contentString = s.slice(1, s.length - 1);
    
    // 주석1. 괄호에 감싸진 값들을 가져오는 정규식
    const reg = /\{(.*?)\}/g;
    const splitStringList = contentString.match(reg);
    
    // 정규식을 통해 얻은 괄호의 값들을 리스트로 변환
    const stringDict = {};
    for(let i=0; i< splitStringList.length;i++){
        let list = splitStringList[i].slice(1, splitStringList[i].length - 1).split(',');
        
        // 괄호안의 숫자 개수를 오브젝트에 저장. (가장 많이 나온 숫자가 튜플의 가장 첫 번째 순서임을 구하기 위해서)
        for(let j=0; j< list.length;j++){
            if(!stringDict.hasOwnProperty(list[j])){
                stringDict[list[j]] = 0;
            }
            stringDict[list[j]]++;
        }
    }
    
    // 가장 많이 나온 원소에 따라 정렬
    const items = Object.keys(stringDict).sort().map(function(key){
        return [key, stringDict[key]];
    });
    
    // 키 값만 추출 ( String -> Number 변환)
    return items.sort((a,b) => b[1] - a[1]).map(val => Number(val[0]));
}

추가설명

주석1. 정규표현식을 사용한 부분으로 아래와 같다.

    const reg = /\{(.*?)\}/g;

/ /g : 검색되는 모든 값들을 반환하도록 하는 것.
\{ : 특문을 쓰기 위해서 역슬래시를 붙힌 여는 괄호
(.*?) : 어떠한 값이든 상관없이 검색 (글자수도 상관하지 않음)
\} : 특문을 쓰기 위해서 역슬래시를 붙힌 닫힌 괄호

잡담

데이터 구조 책도 공부하면서 요약하느라 매일매일 알고리즘을 하고 있지는 못하지만, 간단한 알고리즘이라도 꾸준히해서 머리 굳히는 걸 막자!

사실 오늘건 너무 쉬워서 다시 레벨3에 도전하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profile
안녕하세요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