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ute 53

황상익·2025년 1월 16일
0

AWS

목록 보기
2/6

👨‍💻 Route 53

Domain을 발급 받고 관리해주는 서비스
"www.naver.com, daum.net, youtube.com"과 같은 문자로 표현된 인터넷 주소를 의미한다.

Route 53을 조금 더 전문적인 용어로 표현하자면 DNS(Domain Name System) 서비스

What is DNS??

도메인이 없던 시절은 IP 주소를 사용, IP는 특정 컴퓨터를 가리키는 주소 역할
하지만 IP 주소는 많은 숫자들로 이뤄져 있어 일일이 외우기 불편.
사람들이 기억하기 쉬운 문자로 컴퓨터의 주소를 나타낼 수는 없을까에 대해 고민하게 됨.
숫자로 이뤄져 있는 IP 주소를 문자로 구성하기에는 한계 있음. 컴퓨터가 처리하기 쉬운 값의 형태는 문자가 아니라 숫자이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 하기 위한 방법이 DNS

현업에서의 Route53 활용 여부

백엔드 서버든 일반적으로 IP를 기반으로 통신하지 않고 도메인을 기반으로 통신. 이유는 여러가지지만 그 이유 중 하나는 HTTPS 적용 때문. IP 주소에는 HTTPS 적용할 수 없다. 도메인 주소가 있어야만 HTTPS 적용할 수 있다. 특정 서비스를 운영할때 도메인은 필수적 사용.

하지만 DNS의 역할을 하는 서비스는 AWS Route 53 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존재.
가비아(gabia), 후이즈(whois) 등에서도 도메인을 구매하고 관리할 수 있다. 즉, DNS의 역할을 서비스를 하고 있다는 뜻.

단 현업에서는 무조건적으로 AWS Route 53을 고집하지는 않음.

🚀 실습

Route 53에서 도메인 구매


*) Email에서 Verfication이 온 것을 확인 해야 Route 53 Domain이 등록

Route 53의 Domain을 EC2에 연결


*) Route 53의 호스팅 영역 메뉴에 들어가서 레코드 생성


jscode-edu.link의 도메인으로 접속했을 때 52.79.34.240의 IP 주소로 연결시켜준다는 뜻
값에 IP 주소를 넣어주면 된다.

레코드 유형

DNS 공통적으로 있는 설정중 하나가 레코드 유형,

  • A 레코드
    도메인을 특정 IPv4 주소에 연결시키고 싶을 때 사용하는 레코드 유형

  • CNAME 레코드
    도메인을 특정 도메인 주소에 연결하려고 할때 사용
    CNAME 레코드 값으로 www.naver.com을 적었다면, 해당 도메인으로 접속시 www.naver.com으로 연동

profile
개발자를 향해 가는 중입니다~! 항상 겸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