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3는 ‘파일 저장 서비스’이지 않나?
웹 서비스를 다른 사용자들도 쓸 수 있게 인터넷에 배포하는 걸 뜻
👨💻 CloudFront란?
컨텐츠(파일, 동영상 등)를 빠르게 전송하게 해주는 서비스
AWS CloudFront가 어떻게 컨텐츠를 빠르게 전송하게 해주는 지 작동 과정

전세계 곳곳에 컨텐츠(파일, 동영상)의 복사본을 저장해놓을 수 있는 임시 저장소를 구축. 이런 형태의 서비스를 보고 CDN(Content Delivery Network)이라고 부른다.
👨💻 CloudFront는 왜 사용하는 걸까?
컨텐츠를 전송 받는 성능을 향상, 그리고 HTTPS를 적용하려면 CloudFront를 사용. S3에는 HTTPS를 적용시키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지 않다. 이 외에도 보안을 한층 강화할 수 있다는 장점
👨💻 S3 & CloudFront를 활용한 아키

S3로 바로가는 것이 아닌 CloudFront를 한번 거쳐서 간다.
🚀 실습
- 첫 Setting은 S3 Setting이니 과정 생략
- S3에 배포할 웹 서비스 파일 업로드

- S3에 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 설정하기


CloudFront 생성
- CloudFront 페이지 들어가기
- 원본 도메인 입력하기

원본 도메인에 S3 버킷 엔드포인트(static-practice.s3.ap-northeast-2.amazonaws.com)를 사용하지 말고 S3 정적 호스팅 웹 사이트의 엔드포인트(static-practice.s3-website.ap-northeast-2.amazonaws.com)를 사용
- HTTP, HTTPS에 대한 정책 선택하기
- WAF 설정
보호 비활성화 선택
- 가격분류 설정

CloundFront의 경우 HTTPS를 적용하려면 ACM에 들어가서 SSL/TLS 인증서를 발급 받는데 미국 동부 버지니아 북부로 받아야 함 (이유는 AWS 측에 물어보면 됨)
-
CloudFront 설정에서 SSL 인증서 추가하기

-
Route53에서 CloudFront에 도메인 연결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