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stapi에서 문서화는 따로 할것이 없다. 자동으로 문서를 생성해주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우리가 만들어놓은 api를 실행시키고 http://localhost:8000/docs 로 접근해보자.

그러면 다음과 같이 문서들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있고 테스를 진행할 수 있다.
http://localhost:8000/redoc 로 접근해보자.

위 그림과 같이 redoc도 자동으로 생성해준다.
세부 설정까진 아니지만 파라미터에 대한 설명글을 추가해줄 수 있다.
@board_router.get("/board/{id}")
def getDetail2(id: int = Path(gt=0, title="게시판 id")) -> dict:
return {"board" : board_list[id]}
경로 매개변수를 사용할때 FastApi에서 제공하는 Path를 사용하여 유효성 체크와 설명을 추가해줄 수 있다. 해당 부분은 redoc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class Board(BaseModel):
id: int
subject: str
content: str
member: Member
class Config:
json_schema_extra = {
"example" : {
"id" : 1,
"subject" : "제목",
"content" : "내용",
"member" : {
"id" : 1,
"name" : "이름"
}
}
}
다음과 같이 객체에 Config 값을 추가해주면 문서에서 요청하는 예시를 수정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