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와이어프레임 이란 ?
- 와이어프레임(Wireframe)은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의 기본적인 구조와 레이아웃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설계도입니다
2️⃣ 와이어프레임의 목적
UI(User Interface) 및 UX(User Experience) 설계의 초기 단계에서 사용됩니다
- 구조적 계획: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의 기본적인 배치와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구성을 정의합니다.
- 기능 정의: 각 요소(버튼, 메뉴, 텍스트 등)가 어떤 기능을 하는지 명확히 합니다.
- 프로토타입 개발: 초기 단계에서 사용자 흐름(UX)을 시뮬레이션하여, 디자인과 기능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커뮤니케이션 도구: 팀원 간, 클라이언트와 개발자 간, 또는 디자이너와 사용자 간의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협업하는 데 유용합니다.
3️⃣ 와이어프레임의 특징
와이어프레임은 단순하고 직관적인 시각적 표현을 합니다
- 단순성
디테일한 디자인은 포함하지 않고, 주로 레이아웃과 기능에 집중합니다. 색상, 폰트, 이미지 등 시각적인 요소는 최소화됩니다
- 인터랙션 표현
사용자가 인터페이스에서 어떻게 상호작용할지, 클릭이나 스크롤 등의 동작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습니다
- 구성 요소의 배치
버튼, 메뉴, 검색창 등 웹 페이지의 중요한 구성 요소들이 어디에 배치될지 대략적으로 보여줍니다
4️⃣ 와이어프레임의 종류
와이어프레임은 정밀도와 상호작용의 정도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저해상도 와이어프레임 (Low-fidelity Wireframe)
손으로 그린 그림이나 간단한 드로잉 형태로, 레이아웃만 표시되며, 요소들의 상대적인 위치와 크기를 간단히 나타냅니다
-
고해상도 와이어프레임 (High-fidelity Wireframe)
디지털 도구를 사용해 좀 더 정교하게 만든 와이어프레임으로, 각 요소의 정확한 크기와 위치를 정하고, 일부 상호작용을 포함하기도 합니다
-
인터랙티브 와이어프레임 (Interactive Wireframe)
클릭이나 드래그 등을 통해 실제 동작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와이어프레임으로, 프로토타입 단계에 가까운 형태입니다
5️⃣ 와이어프레임의 구성 요소
와이어프레임에는 다양한 구성 요소가 포함됩니다
-
헤더 (Header)
웹사이트나 앱의 상단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로고, 네비게이션 바, 검색창 등이 포함됩니다.
-
네비게이션 바 (Navigation Bar)
사용자가 페이지 간에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돕는 메뉴나 링크입니다.
-
본문 (Body)
웹사이트의 주요 콘텐츠 영역으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 다양한 콘텐츠가 배치됩니다.
-
푸터 (Footer)
웹사이트 하단에 위치하며, 연락처, 개인정보 처리방침, 약관 등의 정보가 포함됩니다.
-
버튼 (Buttons)
사용자가 클릭할 수 있는 버튼으로, 가입, 로그인, 제출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
폼 (Forms)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부분으로, 입력창, 체크박스, 라디오 버튼 등이 포함됩니다.
6️⃣ 와이어프레임 도구
- Figma : 실시간 협업이 가능하며, 디자인과 프로토타입 기능을 제공하는 도구입니다
- Adobe XD : UI/UX 디자인에 최적화된 도구로, 와이어프레임부터 최종 디자인까지 작업할 수 있습니다
- Sketch : macOS에서 사용 가능한 UI/UX 디자인 도구로, 와이어프레임 제작에 많이 사용됩니다
- Balsamiq : 손으로 그린 듯한 스타일의 와이어프레임을 쉽게 만들 수 있는 도구입니다
- Axure : 인터랙티브한 와이어프레임을 만들 수 있는 도구로, 복잡한 동작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