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dash.com
A modern JavaScript utility library delivering modularity, performance & extras.
Lodash는 기능적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작업을위한 유틸리티 기능을 제공하는 JavaScript 라이브러리입니다.
웹 개발의 웹 후크는 사용자 정의 콜백을 사용하여 웹 페이지 또는 웹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을 향상 시키거나 변경하는 방법입니다.
API (Application Promgramming interface)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 체제나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만든 인터페이스
구글이 만든 언어 및 플랫폼 중립적이고 확장성을 갖춘 새로운 형태의 직렬화 매커니즘이자 데이터 포맷이다.
XML과 유사하지만 더 작고 빠르며, 포맷을 정의하기만 하면 컴파일을 통해서 C++ / C# / Java / Python / Go / Ruby 등의 언어에 대해서 바로 코드형태로 바꿀 수 있다.
프로토버프의 파일 포맷은 .proto 이며 이 안에 자료 구조를 정의하면 프로토버프 모듈을 통해 각 언어에 맞게 컴파일을 한 뒤 사용하는 방식이다.
언어에 무관하게 포맷만 서로 공유가 되면 각 언어에 맞는 모듈들이 알아서 Serialize / Deserialize 를 해주기 때문에 쉽게 사용할 수 있다.
( 출처: Google-Protobuf | Jins' Dev Inside )
예시 | github.com/protocolbuffers/protobuf
OAuth는 인터넷 사용자들이 비밀번호를 제공하지 않고 다른 웹사이트 상의 자신들의 정보에 대해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의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공통적인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접근 위임을 위한 개방형 표준이다.
이 매커니즘은 여러 기업들에 의해 사용되는데, 이를테면 아마존, 구글, 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 트위터가 있으며 사용자들이 타사 애플리케이션이나 웹사이트의 계정에 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허용한다.
OAuth | 위키백과
외부 서비스와 연동되는 Facebook이나 트위터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반드시 Facebook이나 트위터에 로그인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인증 절차를 거치면 다른 서비스에서 Facebook과 트위터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OAuth와 로그인은 반드시 분리해서 이해해야 한다. 일상 생활을 예로 들어 OAuth와 로그인의 차이를 설명해 보겠다.
사원증을 이용해 출입할 수 있는 회사를 생각해 보자. 그런데 외부 손님이 그 회사에 방문할 일이 있다. 회사 사원이 건물에 출입하는 것이 로그인이라면 OAuth는 방문증을 수령한 후 회사에 출입하는 것에 비유할 수 있다. (중략) OAuth에서 'Auth'는 'Authentication'(인증)뿐만 아니라 'Authorization'(허가) 또한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OAuth와 춤을 | NAVER D2
메모리상에 연속적으로 나열되는 단순한 형태의 자료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