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잉스테크 입니다!
이번에는 파이썬을 공부하면서 기록을 남기는 TIL 활동을 하면서 남겨보고자 합니다
처음 개발 환경 구축부터 차근차근 파이썬 프로젝트까지 과정을 담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참고 내용
공부하고 있는 자료는 구름 edu에 무료 파이썬 기본편 - 6시간 뒤면 나도 개발자를 공부하면서 스터디한 내용을 남긴 내용입니다.
- 이전 포스팅을 보지 않으셨다면 ?
자바 vs 파이썬 숫자, 문자 자료형 선언방법 ,주석 ,변수 초기화에 대해 알아보자!
이번 시간에는 Boolean (참 / 거짓) 자료형과 변수를 한 번 더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보고자 합니다.
먼저 Bollean type 자료형이 먼지 알아야겠죠?
Boolean type 자료형은:
참 (True) , 거짓 (False)의 두 개 값을 가지는 자료형을 말합니다.
찾다가보니 좋은 자료가 있어서 올려봅니다
사진처럼 조건문에서 False 일 때
눈에 띄는 것은 [] , (), {} 과같이 비어있을 때 False를 보여주고
논리 연산자 not True , not 5; not -1 과같이 참이 아닐 때로 부정 논리 연산자로 사용할 수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피 연산자를 부정하는 not, 그리고 논리 곱을 수행하는 and 연산, 논리합을 수행하는 or 연산자를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이야기하는 and , or 연산의 경우 컴퓨터 구조에서 기본이 되는 내용입니다만 표현을 간단히 해보자면
연산 종류 | &&(and연산) | && (and 연산) | (or연산) | (or 연산) |
---|---|---|---|---|
데이터 | 0 | 1 | 0 | 1 |
데이터 | 1 | 1 | 1 | 1 |
연산 결과 | 0 | 1 | 1 | 1 |
표처럼 and 연산은 둘 다 같아야 1 (True)로 표시하지만
or 연산의 경우 '이거나, 둘 중 하나만 참' 인 경우 참이 출력되는 걸 볼 수 있지만
and 연산의 경우 '또한, 둘 다 참' 일 때만 = 참인 연산이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제 중요한 이것을 파이썬으로 살펴보자면
print(5 > 10) # 참 / 거짓 FALSE
print(5 < 10) # TRUE
print(True) # TRUE
print(False) # FALSE
print(not True) # 거짓 False
print(not False) # 참 true
print(not (5 > 10)) # true
이렇게 Boolean 타입으로 사용했을 때 어떠한 결과를 볼 수 있고 사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습니다.
이번에는 변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로그래밍 하시다 보면 왜 한 번쯤 변수를 굳이 선언하는지 궁금하셨던 적이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강아지를 예시를 들어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print("우리집 강아지의 이름은 연탄이에요 ")
print("연탄이는 4살이며 , 산책을 좋아해요 ")
print("연탄이는 어른일까요? True")
코드처럼 강아지 이름은 연탄이에요
연탄이는 4살이며 산책을 좋아해요라는 내용이 있습니다
만약에 강아지가 아니고, 또 이름이 연탄이가 아닌 복실이면 코드를 수정하고 재 컴파일하는즉 코드의 재사용성이 떨어질 거예요 ㅜㅜ
말고도 정말 변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연산, 등등 정말 다양한 이유가 있겠지만
아무래도 일일이 하나씩 치는 것보단 변수를 하나 선언해두고 사용하는 게 훨씬 효율적이겠죠?
말로만 하면 이해가 안 가니 직접 한번 보도록 합시다
animal = " 강아지 "
name = " 연탄 "
age = 4 # int형 타입
hobby = "선챡"
is_adult = age >= 3 # 성인이면 3살보다 같거나 커야해요
print("우리집 "+animal+"의 이름은"+name+" 이에요 ")
print(name+" 는 "+str(age)+"살이며 , "+hobby+"을 좋아해요 ")
print(name+" 는 ", str(age), "살이며 , ", hobby, "을 좋아해요 ")
print(name+"이는 어른일까요? "+str(is_adult))
간단하게 변수를 사용해 본 코드입니다 (파이썬)
animal String 타입으로 값을 지정해 주고 각각 변수를 선언해 줍니다
여기서 특이한 점은 파이썬은
is_adult = age >= 3처럼 선언을 하면
나이가 3보가 같거나 크면 비교연산자로 Boolean 타입으로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자바 언어로 예로 들자면
int age = 3 ;
Boolean is_adult = age >= 3 ;
public class 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irng[] args_ {
int age = 3;
Boolean is_adult = age >= 3;
System.out.println(is_adult);
결과 화면은
true # 와같이 표시되는것을 볼수있습니다
와 같이 결과 하면이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다음과 같이 코드를 작성하고 출력해 보면 아래와 같이 결과가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산챡이라고 오타가 났네요,.. ;;
사진처럼 위에 있는 변수 값만 변경해 준다면 언제든지 값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문자와 문자 사이를 연결할 때 "test" + animal + "hi" 와 같이 이어서 변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int로 출력 시 age와 같은 int 타입인 자료형은 -> str (문자 자료형 ) String 타입으로 형 변환이 필수겠죠?
이렇게 한다면 동적으로 프로그램을 짜고 내 마음대로 좀 더 많은 프로그램을 넓게 짤 수 있겠죠??
이래서 변수는 꼭 프로그램 개발에서 반드시 사용해야 하지만
또 너무 많은 변수를 사용하게 되면 Ram에서 Heap 영역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선언하고 상황에 맞게 선언해 주는 게 중요해요!
만약 숫자는 너무 큰데 변수가 작으면 오버 플로우가 발생하니 잘 참고해서 사용을 해야겠죠?
1byte = 8bit에요
간단하게 살펴보자면 long은 무제한...으로 표현할 수 있고
float , int형 자료형 경우 float가 제일 크고 int형이 가장 작은 4바이트인 걸 알 수 있어요
이렇게 변수를 사용하기 전에는 이변 수가 얼마나 담을 수 있을지 항상 고려하고 사용해야 하고
큰 프로그램을 개발할 땐 필수적인 고려 요소랍니다!
오늘은 변수와 Boolean 타입의 자료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저번 시간에는 주석이랑 변수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았다면 이번 시간은 조금 자세히 알아보았던 시간이었던 거 같습니다
우리 모두 파이썬으로 코딩하는 그날까지 열심히 해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