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rect-address Table
이미지 출처: https://baeharam.netlify.app/posts/data%20structure/hash-table
- 직접 주소화 테이블)이란, key 값으로 k를 갖는 원소는 index k에 저장하는 방식
- 단점
- 불필요한 공간 낭비
- key가 다양한 자료형을 담을 수 없게 됨
해시 테이블
이미지 출처: https://mangkyu.tistory.com/102
- 효율적인 탐색(빠른 탐색)을 위한 자료구조로써 key-value쌍의 데이터를 입력받습니다.
- hash function h에 key값을 입력으로 넣어 얻은 해시값 h(k)를 위치로 지정하여 key- value 데이터 쌍을 저장합니다. 즉, h(k)는 키 k의 해시값이다
HashTable 구성
- key는 무조건 존재해야 하며, 중복되는 key가 있어서는 안됩니다.
- hash table을 구성하고 있는, (key, value)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각각의 공간을 slot 또는 bucket이라고 합니다.
- hash function은 연산 속도가 빨라야 하고, 해시값이 최대한 겹치지 않도록 잘 설계해야 한다.
Collision
- 서로 다른 key의 해시값이 똑같을 때를 말합니다. 즉, 중복되는 key는 없지만 해시값은 중복될 수 있는데 이 때 collision이 발생했다고 합니다.
해결방법
open addressing
-
collision이 발생하면 미리 정한 규칙에 따라 hash table의 비어있는 slot을 찾습니다.
-
빈 slot을 찾는 방법에 따라 크게 Linear Probing, Quadratic Probing, Double Hashing으로 나뉩니다.
-
추가적인 메모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linked list 또는 tree자료구조를 통해 추가로 메모리 할당을 하는 separate chaining방식에 비해 메모리를 적게 사용합니다.
-
Linear Probing(선형 조사법)& Quadratic Probing(이차 조사법)
이미지 출처: https://mangkyu.tistory.com/102
-
종류
- Linear Probing(선형 조사법)
- 충돌이 발생한 해시값으로 부터 일정한 값만큼(+1,+2,+3,...) 건너 뛰어, 비어 있는 slot에 데이터를 저장
- Quadratic Probing(이차 조사법)
- 이차 조사법은 제곱수(+12,+22,+32,...)로 건너 뛰어, 비어 있는 slot을 찾습니다.
- 단점
- 충돌이 여러번 발생하면 여러번 건너 뛰어 빈 slot을 찾습니다.
- 선형 조사법과 이차 조사법의 경우 충돌 횟수가 많아지면 탐사이동폭이 같기 때문에 특정 영역에 데이터가 집중적으로 몰리는 클러스터링(clustering)현상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
Double Hashing(이중해시, 중복해시)
- 클러스터링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2개의 해시함수를 사용하는 방식
- 하나는 최초의 해시값을 얻을 때 사용하고 또 다른 하나는 해시 충돌이 발생할 때 탐사 이동폭을 얻기 위해 사용합니다.
separete chaining
이미지 출처: https://mangkyu.tistory.com/102
- collision이 발생하면 linked list에 노드(slot)를 추가하여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 서로 다른 두 key가 같은 해시값을 갖게 되면 linked list에 node를 추가하여 (key, value) 데이터 쌍을 저장합니다. 삽입의 시간복잡도는 O(1)입니다.
- 검색: 기본적으로 O(1)의 시간복잡도 이지만 최악의 경우 O(n)의 시간복잡도를 갖습니다.
- 삭제: 삭제를 하기 위해선 검색을 먼저 해야하므로 검색의 시간복잡도와 동일합니다. 기본적으로 O(1)이지만 최악의 경우 O(n)의 시간복잡도를 갖습니다.
- worst case의 경우 n개의 모든 key가 동일한 해시값을 갖게 되면 길이 n의 linked list가 생성되게 됩니다. 이 때, 검색의 시간복잡도가 O(n)이 됩니다.
seperate chaining은 기본적으로 linked list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지만, collision이 많이 발생하여 linked list의 길이가 길어지면 Binary Search Tree(BST)자료구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기도 합니다. BST를 사용함으로써 검색의 worst case 시간복잡도를 O(n) 에서 O(logn)으로 낮출 수 있습니다.
시간복잡도와 공간효율
- 시간복잡도는 저장, 삭제, 검색 모두 기본적으로 O(1)이지만, collision으로 인하여 최악의 경우 O(n)이 될 수 있습니다.
- 데이터가 저장되기 전에 미리 저장공간(slot, bucket)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저장공간이 부족하거나 채워지지 않은 부분이 많은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 공간효율성은 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