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GitHub 커밋 메세지 컨벤션

서영·2025년 8월 25일
5

GitHub

목록 보기
1/2
post-thumbnail

안녕하세요! 오늘은 GitHub에서 커밋 컨벤션에 대해 같이 알아봐요 ✨
깃허브는 처음엔 너무 어렵게 느껴지지만! 이 포스트를 작성하면서 같이 깃허브 마스터가 되어봐용 헤헤

🖤 GitHub란?

GitHub = 깃(Git) + 허브(Hub)

깃(Git) : 버전 관리 도구

허브(Hub) : 함께 모이는 공간

즉, 깃허브는 버전 관리 도구 깃을 바탕으로 한 코드 공유·협업 플랫폼이에요!


🖤 GitHub로 할 수 있는 것

💫 코드 저장소 → 프로젝트 코드를 올려두는 "저장소(repo)" 역할

💫 버전 관리 → 수정한 이력을 기록하고, 이전 상태로 쉽게 복원 가능

💫 협업 → 여러 명이 동시에 같은 프로젝트를 수정 & 병합 가능

💫 오픈소스 공유 → 전 세계 개발자들의 프로젝트를 구경하고 기여할 수 있음

💫 프로젝트 관리 → 이슈, PR(Pull Request), 위키 등을 활용한 체계적 관리

즉, 깃허브 하나로 코드 관리 + 협업 + 공유까지 다 할 수 있는 거죠!


🖤 GitHub 기본 용어 정리

깃허브를 이해하려면 기본 용어들을 알아두는 게 좋아요😽😽

1. 커맨드 라인 (Command Line)

텍스트깃 명령어를 입력하는 창

맥 → 터미널, 윈도우 → 깃 설치 후 사용 가능

마우스 대신 텍스트 명령어로 조작

2. 저장소 (Repository, Repo)

프로젝트가 담기는 폴더 같은 공간

내 컴퓨터(local) 또는 깃허브 서버에 존재

코드, 텍스트, 이미지 등 다양한 파일 관리 가능

3. 버전 관리 (Version Control)

프로젝트의 모든 변경 이력(스냅샷) 저장

언제든 과거 버전으로 돌아갈 수 있음

파일을 겹쳐쓰기 걱정 없음

4. 커밋 (Commit)

현재 상태를 저장하는 사진 찍기 같은 것

프로젝트 진행 중 체크포인트 역할

특정 시점으로 되돌아가기 가능

5. 브랜치 (Branch)

메인 코드에서 갈라져 나오는 개인 작업 공간

수정/개발은 브랜치에서 따로 진행

작업이 끝나면 메인(main/master)에 Merge(병합)


🖤 커밋 메시지 컨벤션 정리!

오늘 포스트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죠?
커밋 메세지 컨벤션에 대해 알아보고 자주 쓰이는 커밋 메시지 컨벤션(스타일 가이드) 에 대해 배워바용⭐⭐

일단 커밋 메세지 컨벤션은 커밋 메세지를 일정한 규칙에 맞춰 작성하자는 가이드라인이라고 말 할 수 있어요!

메세지를 형식화 해서 작성해서 프로젝트 기록도 깔끔해지고 협업할 때 누가 어떤 변경을 햇는지 한눈에 알기 위해 사용하는거죠 ㅎㅎ

커밋 메시지 컨벤션(스타일 가이드)는 크게 기본 타입이 있고, 필요하면 거기서 더 세분화한 확장 타입을 쓰는 경우가 있어요!

💫 기본 타입 (거의 모든 프로젝트에서 공통적으로 쓰는 것)

feat: 새로운 기능 추가
fix: 버그 수정
docs: 문서 수정 (README, 주석 등)
style: 코드 포맷만 변경 (들여쓰기, 세미콜론 등)
refactor: 코드 리팩토링 (기능 변화 X, 구조 개선)
test: 테스트 코드 관련
chore: 설정, 빌드 등 사소한 수정

➡️이 7가지는 컨벤션의 핵심 기본 타입이라고 할 수 있어요!

💫 확장 타입 (프로젝트에 따라 추가로 쓰는 것)

design: UI 디자인 변경 (CSS, 레이아웃 등)
build: 빌드 관련 파일 수정
ci: CI/CD 설정 수정
perf: 성능 개선
rename: 파일/폴더 이름 변경
remove: 파일/코드 삭제

➡️ 확장 타입은 팀이나 프로젝트 상황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하면 돼요!


🖤 GitHub 주요 명령어

깃(Git)은 명령어가 아주 많지만,
기본적인 사용에는 몇 개의 핵심 명령어만 알면 충분해요!😏😏
모든 명령어는 git으로 시작한답니다아💖💖

💫초기 설정 관련
git init
→ 현재 폴더를 깃 저장소로 초기화
(이제부터 이 폴더 안의 파일들을 깃이 추적함)

git config
→ 깃 환경 설정 (이름, 이메일 등 최초 설정할 때 주로 사용)

git help
→ 명령어가 헷갈릴 땐 도움말!
(git help init 처럼 특정 명령어의 상세 도움말도 가능)

💫 상태 & 스냅샷

git status
→ 현재 저장소 상태 확인
(추적 중인 파일, 수정된 파일, 현재 브랜치 등)

git add
→ 특정 파일을 커밋 대상으로 스테이징
(예: git add index.html)

git commit -m "메시지"
→ 현재 상태를 스냅샷(체크포인트)으로 저장(-m 옵션으로 커밋 메시지 작성)

💫 브랜치 관련

git branch
→ 새로운 브랜치 생성 (예: git branch cats)

git checkout 브랜치명
→ 특정 브랜치로 이동 (예: git checkout master)

git merge 브랜치명
→ 다른 브랜치의 변경사항을 현재 브랜치로 병합

💫 원격 저장소 관련
git push
→ 내 로컬 저장소의 커밋을 깃허브(원격 저장소)로 업로드

git pull
→ 원격 저장소의 최신 내용을 내 로컬 저장소로 가져오기


마무리 🎇🎇

오늘은 GitHub의 기본 개념과 함께 커밋 메시지 컨벤션, 주요 명령어까지 정리했어요!
깃허브는 어렵지만, 하나씩 익히면 협업과 버전 관리에 꼭 필요한 강력한 도구랍니다!
오늘도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앙 💖
앞으로도 깃허브랑 점점 더 친해지는 우리 되자구요!
혹시 틀린 부분이나 궁금한 점 있으면 댓글 달아주세요 ✨
그럼 이만 바이... =͟͟͞͞(๑•̀ㅂ•́)و✧

우리 모두 즐코~💗💗

참고 자료 : https://sudo-minz.tistory.com/10
참고 자료 : https://sungwookoo.tistory.com/1

5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5년 8월 26일

어머 정말 تكنولوجيا! !!! 역시 앱반 미래

1개의 답글
comment-user-thumbnail
2025년 8월 26일

허거거걱!! 너무 유익한 정보예여!! 😍😍😍😍 이 언니의 설명 완전 귀에 쏙쏙 들어오자나?!

1개의 답글
comment-user-thumbnail
2025년 8월 28일

와 지존이세요!!

답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