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트캠프] 1일차 TIL

MINGYOUNG KIM·2021년 3월 2일
0

Week 1-1. js와 가까워지기

[기수 이동] TIL 1일차 update.ver

Lesson. 변수

1. how to use

-변수의 선언(declaration) = let + 변수 이름 => 보관함 확보
-변수의 할당(assingnment) = 변수 이름(변수 값) => 보관함에 데이터 저장
예시) 변수의 선언과 할당: let myName = 'Steve';

2. 변수의 정의: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잆는 값

-할당이 없다면: undefined
-결과물을 다시 변수로 담기 가능
-동일한 변수를 이용해 대입 가능
-예시) sum = sum + 2 (이 때, 재선언과 재할당의 개념에 유의!)
-이름(label)이 붙은 값 (;이름이 붙은 저장소)
(+)CamelCase

Lesson. 변수의 타입

1. 타입

  1. 숫자 (e.x. pi)
  2. 문자열: 따옴표와 함께 사용 (e.x. 'myname')
  3. 불리언: 참/거짓을 판단 (e.x. boolean)
  4. 자료형: 하나의 변수에 위의 타입이 서로 섞여 여러 변수값이 저장(집합)된 타입
    -배열: 순서 (O)
    -객체: 순서 (X), 2가지 이상의 자료형
    -undefined
    -함수

2. 타입에 따른 연산자 작동 방식

-> String + 다른 타입 = Strint type

Lesson. 함수

1. intro

-함수: 함수는 입력(input)을 받아 출력(output)을 하는 하나의 작은 기능 단위

  • 알고리즘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지에 대한 고민이라면, 함수는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한 고민을 논리적으로 풀어내는 작업의 한 단위
  • 컴퓨터에게 일을 시키기 위한 지시사항의 묶음

2. 기초

(1) 함수의 선언식:

function myFunction(input) {
// 컴퓨터에게 시킬 일
}

(2) 함수의 표현식

let myFUnction = function(input) {
// 컴퓨터에게 시킬 일
}

2-1)변수에 함수가 담겨있다면, 다른 변수와는 다르게 () 괄호를 붙여서 함수 호출 가능
2-2)또한 입력값의 설정이 가능하며, 이를 전달인자(argument) 줄여서 '인자'라고 부름 (파라미터 vs. 전달인자)
2-3) 참고: 함수 선언식 vs. 함수 표현식

3. 타입에 관련한 메소드 (not연산자(!)를 붙여서 사용 가능)

  • String() :
  • Number() : 괄호 안에 숫자가 아니라면 NaN을 리턴
  • Boolean() :
    (+) isNaN()
profile
개발자가 되기 위해 준비 중인 사람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