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이번 작업에서 유저가 쓴 글들을 모아볼 수 있는 유저 페이지가 추가되어야 했다. 이 경우에 리스트 컴포넌트와 같은 경우에는 이미 이전에 쓰던 컴포넌트가 있었지만 유저 정보가 들어가 있는 컴포넌트는 새로 만들어야 했다.
게다가 이 유저 정보 컴포넌트는 크리에이터인지, 멤버인지, 소유자인지에 따라서 보여줘야 하는 방식에 대한 케이스가 다양했기 때문에 테스트를 도입하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위의 요구사항에 따라 아래와 같은 테스트 케이스를 먼저 글로 작성했다.
유저 프로필 정보 TC
기존에 msw를 사용하고 있었지만 생각보다 잘 사용하고 있지 못했다. (필요할 때만 가끔…) 마침 BE에서도 작업 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기도 하고, 다양한 케이스에서 다양한 정보가 필요하기 때문에 테스트 용도로 잘 관리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 아래와 같이 순차적으로 정리를 해봤다.
우선 파일 구조는 아래와 같다. 각각 용도에 따라 디렉토리를 구분했다.
│ ├─ mocks
│ │ ├─ browser.ts
│ │ ├─ datas
│ │ │ ├─ userDetailDatas.ts
│ │ │ └─ userPageDatas.ts
│ │ ├─ handlers
│ │ │ └─ userPageHandlers.ts
│ │ ├─ handlers.ts
│ │ ├─ index.ts
│ │ └─ server.ts
이번에는 userPage와 Details에 관련된 데이터가 필요하여 생성했다. 테스트가 끝나면 간편하게 지울 수 있도록 파일을 만들어 두었다. api 스펙에 맞춰서 mock 데이터를 생성했다.
특히 이번 테스트에서는 userDetailDatas를 사용했는데, 각각 케이스별로 필요한 데이터들을 생성했다.
// userDetailDatas
// case: 멤버, 소유자, 크리에이터, 비멤버
export const userDetailsMember = {
status: 200,
body: {
result: {
email: 'user@gmail.com',
role: 'USER',
profileImageUrl:
'url',
userName: 'userName',
permalink: 'userPermalink',
likedCount: 16,
userType: 'MEMBER',
},
errorMessage: '',
errorCode: '',
error: false,
},
};
export const userDetailsCreator = {
status: 200,
body: {
result: {
email: 'user2@gmail.com',
role: 'CREATOR',
profileImageUrl:
'url',
userName: 'userName',
permalink: 'userPermalink',
likedCount: 16,
userType: 'NON_MEMBER',
},
errorMessage: '',
errorCode: '',
error: false,
},
};
export const userDetailsOwner = {
status: 200,
body: {
result: {
email: 'user4@naver.com',
role: 'CREATOR',
profileImageUrl:
'url',
userName: 'userName',
permalink: 'userPermalink',
likedCount: 16,
userType: 'CREATOR',
},
errorMessage: '',
errorCode: '',
error: false,
},
};
export const userDetailsNoneMember = {
status: 200,
body: {
result: {
email: 'user5@gmail.com',
role: 'USER',
profileImageUrl:
'url',
userName: 'userName',
permalink: 'userPermalink',
likedCount: 16,
userType: 'NON_MEMBER',
},
errorMessage: '',
errorCode: '',
error: false,
},
};
그리고 이 목업 데이터를 보내줄 핸들러를 생성했다.
//userPageHandlers.ts
import { rest } from 'msw';
import {
userDetails,
} from '../datas/userPageDatas';
const getUserDetails = (isError?: boolean) => {
return rest.get('/api/v1/user/details', (req, res, ctx) => {
const creatorPermalink = req.url.searchParams.get('creatorPermalink');
const userUuid = req.url.searchParams.get('userUuid');
if (isError) {
return res(ctx.status(500));
}
if (creatorPermalink || userUuid) {
return res(ctx.status(200), ctx.json(userDetails));
}
});
};
const getUserCommunityPosts = (isError?: boolean) => {
return rest.get('/api/v1/creator/community/posts', (req, res, ctx) => {
const creatorPermalink = req.url.searchParams.get('creatorPermalink');
const userUuid = req.url.searchParams.get('userUuid');
const page = req.url.searchParams.get('page');
if (isError) {
return res(ctx.status(500));
}
if (creatorPermalink || userUuid || page) {
return res(ctx.status(200), ctx.json(userCommunityPosts));
}
});
};
const getUserComments = (isError?: boolean) => {
return rest.get('/api/v1/creator/comments', (req, res, ctx) => {
const creatorPermalink = req.url.searchParams.get('creatorPermalink');
const userUuid = req.url.searchParams.get('userUuid');
const page = req.url.searchParams.get('page');
if (isError) {
return res(ctx.status(500));
}
if (creatorPermalink || userUuid || page) {
return res(ctx.status(200), ctx.json(userComments));
}
});
};
const userPageHandlers = [
getUserDetails(),
getUserCommunityPosts(),
getUserComments(),
];
export default userPageHandlers;
getUserDetails 이외에도 이번에 새로운 api가 3가지가 더 생성되므로, 테스트를 위해 각각의 호출 함수를 선언하고 Handler를 한꺼번에 리턴하는 식으로 만들었다. 이렇게 하면 이번에 테스트하는 핸들러 이외에도 테스트할 다른 핸들러가 생기면 생성과 추가를 쉽게 할 수 있을 것 같다.
데이터와 핸들러가 모두 준비되었다면 기본 설정으로 아래와 같이 broswer, handlers, server를 설정해주면 된다.
//browser.ts
import { setupWorker } from 'msw';
import { handlers } from './handlers';
export const worker = setupWorker(...handlers);
//handlers.ts
import userPageHandlers from './handlers/userPageHandlers';
export const handlers = [...Object.values(userPageHandlers)];
//server.ts
import { setupServer } from 'msw/node';
import { handlers } from './handlers';
export const server = setupServer(...handlers);
그리고 이 msw를 마지막으로 실행시켜주기 위한 index 파일을 작성해 준다.
async function initMocks() {
if (process.env.NODE_ENV === 'development') {
if (typeof window === 'undefined') {
(async () => {
const { server } = await import('../mocks/server');
server.listen();
})();
} else {
(async () => {
const { worker } = await import('../mocks/browser');
worker.start();
})();
}
}
}
export default initMocks;
이 함수를 이제 app 최상위에서 실행해 줘야 한다. 간단하게 아래와 같이 실행해줬다.
//_app.tsx
export default function MyApp({ Component, pageProps }: AppProps) {
// Data Mocking
initMocks();
return (
<SWRConfig value={{ fetcher, shouldRetryOnError: false }}>
<ModalProvider>
<AccessControl>
<Component {...pageProps} />
<Modals />
</AccessControl>
</ModalProvider>
</SWRConfig>
);
}
그럼 이제 아래와 같이 없는 api임에도 불구하고 잘 동작하게 된다!
이제 기본적인 msw 세팅은 끝났으니 이전에 작성했던 테스트 케이스를 코드로 변환하도록 했다.
import { render } from '@testing-library/react';
import { rest } from 'msw';
import {
userDetailsCreator,
userDetailsMember,
userDetailsOwner,
} from 'mocks/datas/userDetailDatas';
import { server } from 'mocks/server';
import UserActivityInfo from './UserActivityInfo';
jest.mock('next/router', () => ({
useRouter() {
return {
push: jest.fn(),
};
},
}));
describe('UserActivityInfo', () => {
test('해당 커뮤니티의 멤버일 경우 <멤버> 뱃지 표시', () => {
const { getByText } = render(<UserActivityInfo />);
const memberBadge = getByText('멤버');
expect(memberBadge).toBeInTheDocument();
});
test('해당 커뮤니티 유저가 크리에이터이면 <스튜디오 구경 가기> 버튼 노출', () => {
const { getByText } = render(<UserActivityInfo />);
const viewStudioButton = getByText('스튜디오 구경가기');
expect(viewStudioButton).toBeInTheDocument();
});
test('자신의 커뮤니티 프로필이면 <스튜디오 구경가기> 버튼 노출되지 않음', () => {
const { queryByText } = render(<UserActivityInfo />);
const viewStudioButton = queryByText('스튜디오 구경가기');
expect(viewStudioButton).toBeNull();
});
test('해당 커뮤니티의 크리에이터 (owner)일 경우 <별표> 뱃지 표시', () => {
const { getByText } = render(<UserActivityInfo />);
const starBadge = getByText('Star');
expect(starBadge).toBeInTheDocument();
});
});
기본적으로 각각 테스트 케이스에 따라 보여야 할 컴포넌트 내부의 텍스트를 이용하여 케이스를 판별하도록 작성했다. 하지만 문제는 다양한 테스트 케이스에서 유동적으로 api에서 정보를 바꿔줘야 한다는 점이었다. 그래서 server.use 를 사용하여 동적으로 이전에 작성한 테스트 케이스에 맞는 데이터를 보여주도록 작성하였다.
import { render } from '@testing-library/react';
import { rest } from 'msw';
import {
userDetailsCreator,
userDetailsMember,
userDetailsOwner,
} from 'mocks/datas/userDetailDatas';
import { server } from 'mocks/server';
import UserActivityInfo from './UserActivityInfo';
jest.mock('next/router', () => ({
useRouter() {
return {
push: jest.fn(),
};
},
}));
describe('UserActivityInfo', () => {
test('해당 커뮤니티의 멤버일 경우 <멤버> 뱃지 표시', () => {
**server.use(
rest.get('/api/v1/user/details', (_, res, ctx) => {
return res(ctx.json(userDetailsMember));
}),
);**
const { getByText } = render(<UserActivityInfo />);
const memberBadge = getByText('멤버');
expect(memberBadge).toBeInTheDocument();
});
test('해당 커뮤니티 유저가 크리에이터이면 <스튜디오 구경 가기> 버튼 노출', () => {
**server.use(
rest.get('/api/v1/user/details', (_, res, ctx) =>
res(ctx.json(userDetailsCreator)),
),
);**
const { getByText } = render(<UserActivityInfo />);
const viewStudioButton = getByText('스튜디오 구경가기');
expect(viewStudioButton).toBeInTheDocument();
});
test('자신의 커뮤니티 프로필이면 <스튜디오 구경가기> 버튼 노출되지 않음', () => {
**server.use(
rest.get('/api/v1/user/details', (_, res, ctx) =>
res(ctx.json(userDetailsOwner)),
),
);**
const { queryByText } = render(<UserActivityInfo />);
const viewStudioButton = queryByText('스튜디오 구경가기');
expect(viewStudioButton).toBeNull();
});
test('해당 커뮤니티의 크리에이터 (owner)일 경우 <별표> 뱃지 표시', () => {
**server.use(
rest.get('/api/v1/user/details', (_, res, ctx) =>
res(ctx.json(userDetailsOwner)),
),
);**
const { getByText } = render(<UserActivityInfo />);
const starBadge = getByText('Star');
expect(starBadge).toBeInTheDocument();
});
});
한 가지 문제가 발생했다. mock 데이터를 Jest 테스트 코드에서 가져오려고 하는데 경로가 올바른데도 불구하고 이슈가 생겼다. 이때, 글을 찾아본 결과 jest.config.js
에서 moduleNameMapper
로 불러오는 경로를 매핑해줘야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아래와 같이 추가해줬다.
jest.config - mouduleNameMapper @ 경로 인식 에러 해결하기
module.exports = {
modulePaths: ['<rootDir>'],
setupFilesAfterEnv: ['jest-plugin-context/setup', '<rootDir>/jest.setup.js'],
collectCoverageFrom: [
'!**/__tests__/',
'**/*.{js,jsx,ts,tsx}',
'!**/*.d.ts',
'!**/node_modules/**',
],
moduleNameMapper: {
**'^mocks/(.*)$': '<rootDir>/src/mocks/$1',
'^mocks/datas/(.*)$': '<rootDir>/src/mocks/datas/$1',**
'^uuid$': 'uuid',
'^lodash-es$': 'lodash',
'^.+\\.module\\.(css|sass|scss)$': 'identity-obj-proxy',
'^.+\\.(css|sass|scss)$': '<rootDir>/__mocks__/styleMock.js',
'^.+\\.(jpg|jpeg|png|gif|webp|avif)$': '<rootDir>/__mocks__/fileMock.js',
'\\.svg': '<rootDir>/__mocks__/svgrMock.js',
'^swiper/react$': '<rootDir>/__mocks__/swiper/react.js',
'^swiper/modules$': '<rootDir>/__mocks__/swiper/index.js',
'^swiper/css$': '<rootDir>/__mocks__/swiper/css/bundle.js',
...
},
coveragePathIgnorePatterns: [
'<rootDir>/node_modules/',
'<rootDir>/coverage/',
'<rootDir>/config/',
'<rootDir>/.next/',
'.eslintrc.js',
'.prettierrc.js',
...
],
testPathIgnorePatterns: ['<rootDir>/node_modules/', '<rootDir>/.next/'],
testEnvironment: 'jsdom',
transform: {
'^.+\\.(js|jsx|ts|tsx)$': ['babel-jest', { presets: ['next/babel'] }],
},
transformIgnorePatterns: [
'/node_modules/',
'/node_modules/(?![swiper/react/swiper-slide.js])',
'/node_modules/(?![swiper/react/swiper.js])',
'^.+\\.module\\.(css|sass|scss)$',
],
};
오류가 나지 않고 테스트가 잘 돌아갔다!
이렇게 작성한 테스트 코드를 실시간으로 보면서 내가 컴포넌트를 잘 만들고 있는지 확인하며 작업하고 싶었다. 그래서 package.json에 아래의 명령어를 추가로 세팅하였다.
{
"name": "steadio-web",
"version": "0.1.0",
"private": true,
"scripts": {
...
**"test:watch-unit": "jest --watchAll",**
"coverage": "jest --coverage --passWithNoTests"
},
"lint-staged": {
"./src/**/*.{js,jsx,ts,tsx}": [
"npx eslint --fix"
]
},
"dependencies": {
...
},
"msw": {
"workerDirectory": "public"
}
}
npm run test:watch [test할 파일명]
이제 위의 명령어로 작업한 내용을 실시간으로 비교하면서 테스트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제 테스트를 기반으로 컴포넌트를 작성해보자!
참고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