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 Frontend 최근 마이크로 서비스라는 용어는 크고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을 여러 개의 작고 독립적인 서비스로 분리하고 확장성, 복원력을 향상시키는 등 많은 과제를 해결함으로써 IT 업계에서 상당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마이크로 서비스 개념을 기반으로 구축
마이크로 프론트엔드에만 통용되는 개념은 아니지만 마이크로 프론트엔드의 구현의 하나로 볼 수 있습니다. 각 번들링되어 모듈화 된 앱을 각각의 모듈 단위로 찢어서 배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하나의 앱을 독립적인 배포가 가능한 모듈 단위로 나누어 브라우저 런
Sample Repo 에서 코드를 다운받을수 있습니다.빌드툴ViteModule Federation프론트엔드 라이브러리Vue3TailwindPinia ( Global State Manager ) node package managerPnpm간단한 UI 구성을 위해 Tail
프로젝트 폴더 구조 해당 프로젝트의 폴더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apps : 서버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관리하는 폴더입니다. apps/main-app : 프로젝트의 호스트 어플리케이션입니다. apps/micro-service/** : 프로젝트의 리모트
런타임 어플리케이션의 상품 페이지 (http://localhost:5000/products) 를 살펴 보겠습니다. 위 화면에서 사용되곡 있는 마이크로서비스는 Product & Cart 서비스입니다. 해당 페이지에 접속하게 되면 상단 헤더 장바구니 아이콘의 뱃지
이번 포스트에서는 동작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어떤 방식으로 개발이 진행되고 작업시 유의해야 할 사항들을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앞서 살펴본 내용들을 토대로 개발 & 운영할때 얻을 수 있는 이점과 실제 개발 도입시 고려해야 할 내용들 그리고 추가적인 개선이 필요한 내용들에 대해서 다루려 합니다. 개발 도입시 고려해야 할 내용과 추가적인 개선 사항은 해당 샘플 레포지토리를 기준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