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변수_2

life_is_egg·2022년 4월 20일
0

Java

목록 보기
2/15

08. 문자열 결합

어떤 타입의 변수도 문자열(String)과 덧셈 연산을 수행하면 그 결과가 문자열이 된다.

System.out.println(7+7+"");

출력값: "14"

여기서 7+7까진 숫자로 인식해서 14, ""는 문자열이니까 최종적으로 결과값은 "14"(숫자X, 문자열)

System.out.println(7+7+" "+7);
System.out.println(7+" "+7+7);

출력값: 14 7
출력값: 7 77

앞에 7+7까지 숫자로 인식 > " " 공백 문자열 > 이후 문자열로 전환 > 7문자열 더함
14 7 이라는 결과값이 나옴.

여기서 결합 순서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주의하자.

System.out.println("" + 7);

그러므로 숫자 7을 문자7로 바꾸고 싶을땐, 공백x 빈 문자열""을 더해주면 변환된다!

09.두 변수의 값 바꾸기

그릇a에 담긴 물과 그릇b에 담긴 물을 서로 바꾸려면 빈 그릇이 필요한 것처럼, 값을 임시로 저장할 변수가 하나 더 필요하다.

int x = 10;
		int y = 5;
		System.out.println("x="+x);
		System.out.println("y="+y);
		
		int tmp = x;
		x = y;
		y = tmp;
		System.out.println("x="+x);
		System.out.println("y="+y);

그 빈 그릇 역할이 필요할땐 tmp를 사용하자.

10. 기본형과 참조형

자료형

값의 종류에 따라 값이 저장될 공간의 크기, 저장 형식을 정의한 것. 문자형 (char), 정수형 (byte, short, int, long), 실수형 (float, double) 등

→ 변수를 선언할 때 저장할 값의 특성을 고려해서 알맞는 자료형을 변수의 타입으로 선택하자.

자료형의 종류

기본형: 계산을 위한 실제 값을 저장 (논리형(boolean), 문자형(char), 정수형(byte, short, int, long), 실수형(float, double)) (8개)

참조형: 어떤 값이 저장되어 있는 주소값, 객체의 주소를 저장. (8개 지의 나머지 타입)

즉, 실제 연산에 사용되는 것 → 기본형 변수

이전에 변수의 타입에서 봤던 String은 없네? 얘는 그럼 참조형인가?
기본 1개 문자 char는 기본형으로 쳐주는데🤔

11. 기본형의 종류와 범위

기본형은 총 8개의 타입이 있음!
크게 논리형, 문자형, 정수형, 실수형으로 구분됨.
정수형은 int가 기본
실수형은 double이 기본이다.
기본 자료형의 종류와 크기는 반드시 외워두자!


1 byte2 byte4 byte8 byte
논리형boolean
문자형char
정수형byteshortintlong
실수형floatdouble

외우기 팁!

  • blooean은 true와 false 두 가지 값만 표현하면 되므로 가장 작은 1byte.
  • char은 자바에서 유니코드를 사용하므로 2byte
  • byte는 크기가 1 byte라서 byte
  • int(4 byte)를 기준으로 짧아서 short(2 byte), 길어서 long(8 byte)
  • float는 실수값을 부동소수점(float-point) 방식으로 저장해서 float
  • double은 float보다 두 배의 크기(8 byte)를 갖기 때문에 double

+int 타입의 변수는 대략 10자리(약 ±20억) 값을 저장할 수 있다.
그러니 7~9자리 수를 계산할 때는 넉넉하게 long를 사용하여 변수를 선언하자.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