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 토폴로지

Sunhee·2024년 4월 24일
0

컴퓨터 네트워크

목록 보기
16/21
post-thumbnail

학습 목표

  • LAN을 토폴로지에 따라 분류할 수 잇다.
  • LAN의 토폴로지 종류별 특징을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LAN 토폴로지의 이해

다양한 종류의 장치들을 상호 연결하는 물리적인 형태

토폴로지의 이해

LAN 상에 연결된 다양한 장치들 간에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물리적인 수단, 즉 정보 전달 신호의 형태, 연결된 장비들의 배치 형태들을 토폴로지라 한다.

토폴로지의 분류

구성 형태에 따라 버스형, 링형, 성형, 트리형, 망형으로 분류된다.


LAN 토폴로지의 종류

버스(bus)형

  • 하나의 통신회선에 컴퓨터들이 일렬로 연결되는 형태를 말한다.
  • 데이터 신호를 받아 자신에게 전송된 신호인지 판별하여 자신의 신호이면 수신하고 나머지 컴퓨터는 데이터 신호를 무시하는 방식으로 데이터가 전달된다.
  • 이와 같은 전송 제어 방식을 CSMA/CD라고 한다. (버스형에서 주로 사용)

  • 장점 : 케이블과 LAN 카드만 있으면 얼마든지 컴퓨터를 연결할 수 있다.

  • 단점 : 케이블의 어느 한 곳이 끊어진다면 네트워크의 통신이 부분적으로 불가능해 진다.


링(ring)형

  • 버스 토폴로지를 원형 형태로 바꾼 것으로 원형의 케이블에서 케이블을 분기하여 컴퓨터를 추가 연결하면 된다.

  • 토큰링 방식의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경우 사용된다.

  • 데이터 신호를 받아서 목적지가 자신인지 확인하는 통시에 자신의 것이 아닌 데이터 신호는 증폭하여 링을 따라 한 방향으로 전달한다.

  • 장점 : 버스 토폴로지보다는 네트워크 범위를 더욱 넓힐 수 잇따.

  • 단점 : 토큰을 사용하여 링을 제어하는 절차가 다소 복잡하다. 연결된 컴퓨터 중 하나에 장애가 생기면 전체 네트워크가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성(star)형

  • 네트워크가 별 모양으로 구축된 LAN을 말한다.
  • 허브라는 중앙 제어 장치가 사용되고 네트워크의 모든 장비는 허브를 통해서 연결된다.
  • 네트워크에 통신 장비를 추가하는 경우 UTP 케이블과 Rj-45 커넥터를 이용하여 허브의 포트에 연결만 시켜 주면 된다.
  • 현재 LAN 구축 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식이다.
  • 장점 : 허브에는 다른 허브를 연결할 수 있는 포트를 가지고 있어 허브만 추가하면 네트워크 확장을 쉽게 할 수 있따.
  • 단점 : 허브에 장애가 발생하면 모든 네트워크의 기능이 정지된다.

망(mesh)형

  • 모든 컴퓨터가 통신 회선을 통하여 상호 연결된 형태
  • 모든 통신 장비들이 서로 연겨로디어 통신 회선에 장애가 발생해도 다른 경로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신뢰성이 가장 높은 구성 형태이다.
  •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비들이 많을수록 케이블 설치 비용이 많이 들어간다.
  • 주로 LAN과 LAN을 연결하는 기간망(Backbone)으로 사용된다.

트리(tree)형

  • 성형의 변형으로 하나의 중앙 제어 장치에 모든 장비가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나무 형태의 분기점에 제어 장치를 두어 장비를 연결하여 네트워크를 연결해 나가는 형태이다.

  • 장점 : 장비간 데이터 전송 거리를 증가 시킬 수 있다.

  • 단점 : 상위 계층에 장애 발생 시 하위 계층에 연결된 모든 장비에 영향을 준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