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구성 요소

Sunhee·2024년 3월 13일
0

컴퓨터 네트워크

목록 보기
1/21
post-thumbnail

목표

  • 네트워크의 구서 요소가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다.
  • 프로토콜의 개념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 프로토콜의 필요성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 전송 매체의 종류와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 네트워크의 장비의 종류와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하드웨어

  • 송-수신 장치 : 정보 처리를 담당하는 단말 장치로 주로 컴퓨터가 이용된다.

  • 전송 장치 : 송-수신 장치나 네트워크 제어 장치로부터 받은 신호를 통신 회선으로 보낼 수 있는 형태의 신호로 바꾸어 주는 장치이다.

  • 전송 매체 : 통신 회선을 말한다.

    • 유선 회선 : 비차폐(UTP) 케이블, 동축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 무선 회선 : 라디오파, 마이크로파
  • 네트워크 제어 장치

    • 통신 회선을 통해서 전송되어 온 정보를 처리하거나 저장한다.
    •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 연결하거나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등 관리한다.

소프트웨어

  • 통신규약(기능사 기출)

    • 정상적인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언어와 통신 방식 등의 규격을 일치시키는 약속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약속을 통신 규약이라고 한다.
    • 통신규약에는 TCP/IP, FTP, HTTP 등이 있다.
  • 통신 소프트웨어

    • 웹 브라우저, FTP 프로그램, 전자 우편 프로그램, 메신저 프로그램, 텔넷(Telnet) 프로그램 등이 있다.

프로토콜의 개념

  • 프로토콜의 의미 (학습정리, 종합문제, 기능사 기출)

    • 통신 개체들 간에 신뢰성, 효율성, 및 안전성 있게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하기 위해서 규정한 여러 가지 통신 규칙과 방법이다.
  • 프로토콜의 기본 요소 (기능사 기출)

    • 구문 : 데이터의 형식, 부호화 신호 크기 등을 규정
    • 의미 : 전송 전송 패턴에 대한 해석, 해석에 따른 전송 제어, 오류 수정에 대한 제어 규정
    • 타이밍 : 두 개체 간의 통신 속도를 조정하거나 메시지의 전송 시간 및 순서에 대한 조정을 규정

표준 프로토콜의 필요성

  • 표준은 개별 제조업체에 상관없이 모든 제품에서 잘 동작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해 주는 것으로, 서로 다른 제조업체에서 만들어진 제품이 함께 동작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 네트워크 통신 전반을 관장하는 ISO 표준은 개방 시스템 상호연결(OSI) 모델이다.

  • OSI 모델은 기반 구조에 관계없이 서로 다른 두 시스템 간에 통신을 원활하게 하는 프로토콜을 모아 놓은 것이다.


전송 매체의 종류와 특징

전송 매체는 전기적인 신호나 빛의 형태 또는 전자파로 변환된 송신 신호가 수신측에 전달되도록 통로 역할을 담당한다.

유선 전송 매체 (학습정리, 종합문제)

  • 꼬임선
    - 비차폐(UTP)케이블과 차폐(STP) 케이블로 나뉜다.
    - 전송 속도가 느리지만 비용이 저렴하여 전화선이나 건물 내의 통신회선(LAN)에 사용되고 있다.

  • 동축 케이블
    - 저주파에서 수십 MHz의 고주파까지 넓은 주파수 범위의 전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 장거리 통신망, 케이블 텔레비전 등에 활용되고 있다.


  • 광섬유 케이블
    - 데이터를 빛에 의해 전송하므로 전기적인 신호의 간섭이 적다.
    - 전송 대역폭이 매우 넓고 전송 속도가 매우 빠르나 기술이 복잡하고 설치 비용이 많이 든다.

무선전송매체

무선 통신에서는 공간을 통해 전파되는 전자파를 매체를 전송한다.

  • 라디오파
    - 다방향성 전파로서 안테나에서 발사한 전자파는 모든 방향으로 전파가 된다.
    - 라디오와 텔레비전 방송 또는 무선 전화에 이용된다.

  • 마이크로파
    - 이동 통신
    - 마이크로파를 사용하여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 간에 전파를 송수신한다.
    - 고정된 위치가 아닌 장소에서 이동 중에 무선으로 통신하는 방법
    - 위성 통신 - 정지 위성을 중계기로 사용하여 두 기지국 사이의 데이터를 전송한다. - 위성 통신을 이용하므로 먼거리까지 송수신이 가능하다.

네트워크 장비의 종류와 기능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장비가 필요하다. 이 장비에는 단말기로 사용되는 컴퓨터, 랜 카드, 비차폐(UTP)케이블, 허브, 라우터 등이 있다.

  • 랜카드
    • 통신 케이블과 컴퓨터를 연결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장비로 컴퓨터 본체 내부에 설치한다.
  • 비차폐(UTP)케이블
    • 컴퓨터와 네트워크 장비를 연결하는 데 주로 쓰이는 통신 케이블이다.
  • 허브
    • 컴퓨터를 서로 연결하거나 근거리의 다른 네트워크와 연결할 수 있다.
  • 라우터
    • LAN과 WAN처럼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상호 연결하는 네트워크 장비로 데이터가 목적지에 전달 될 수 있도록 최적의 경로를 설정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