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중화(multiplexing)는 한 개의 통신 회선을 다수의 사용자가 공동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수의 사용자들은 통신 회선을 공유한다. 다중화는 고속의 통신 회선에 상대적으로 저속인 통신 회선 사용자들 동시에 여러 명이 접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신망의 사용 효율을 극대화하고 통신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다중화기의 처리 속도
실제로 다중화기의 처리 속도가 단말기의 속도보다 충분히 빠르므로 각각의 단말기는 다중화로 인하여 대기하는 시간이 발생하지 않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중화기(MUX: MUltipleXer)는 다중화 기술을 이용하여 하나의 회선 또는 전송로를 분할하여 다수의 개별적으로 독립된 신호를 동시에 송 수신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다중화기와 반대 기능을 수행하는 역다중화기(DEMUX: DEMUltipleXer)는 여러 개의 출력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을 연결시키는 장치로 분배기라고도 한다.
은 시분할 다중화의 전송 원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n개의 채널 다중화기에 의해 한 개의 통신 회선을 공유하여 전송한다. 이와 같이 한 개의 통신 회선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는 역다중화기에 의해 각각의 목적지로 분배된다.
각 장치 쌍들 사이에서의 전송이 다중화 되어 있으며, 이 네 쌍은 단일 통신 회선의 용량을 공유하고 있다. 왼쪽에 있는 4대의 장치는 자신들이 전송할 데이터 흐름을 다중화기(MUX)로 보내면, 역다중화기(DEMUX)는 그 흐름들을 한 개의 흐름으로 조합하게 된다. 송신측은 이 흐름을 역다중화기로 보내고, 다중복구기는 이 흐름을 각 요소별로 분리하여 각각을 수신 장치로 보낸다. 물리적인 통신 회선을 경로(path), 주어진 한 쌍의 장치들 사이의 전송을 위한 하나의 경로를 채널(channel)이라고 한다. 그리고 하나의 경로에는 여러 개의 채널이 있을 수 있다.
역다중화
다중화의 반대 개념으로, 한 개의 통신 회선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각각의 목적지에 분배해 준다.
[참고자료] https://blog.skby.net/%EC%8B%A0%ED%98%B8-%EB%8B%A4%EC%A4%91%ED%99%94-signal-multiplex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