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사이트를 보는 흐름

Sunhee·2024년 5월 6일
0

네트워크

목록 보기
37/40
post-thumbnail

해당 포스트는 영진닷컴,『그림으로 배우는 네트워크 NetWork 원리』, Gene 저·김성훈 역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웹사이트를 볼 때의 동작

웹사이트를 보기 위해서 HTTP 리퀘스트HTTP 리스폰스를 주고받지만, 그 전에 DNS의 이름해석ARP의 주소해석 기능도 동작합니다. 그리고, TCP로 커넥션도 맺습니다. 간단한 네트워크 구성을 예로 DNS와 ARP, TCP도 포함해 웹사이트를 볼 때의 흐름을 생각해 봅시다.

웹사이트를 볼 때는 웹브라우저에서 URL을 입력합니다. 또는 웹페이지의 링크를 클릭합니다.

TCP/IP는 반드시 IP 주소를 지정해야만 합니다. URL에 포함된 웹서버의 호스트명을 DNS 서버에 질의해 웹서버의 IP 주소를 해석합니다.

DNS 서버에 질의할 때는 이더넷의 MAX 주소를 구하기 위해 ARP도 실행됩니다.

네트워크 구성 예에서는 라우터가 DNS 서버 기능을 가진다고 가정했습니다. 라우터 자체에는 목적지가 되는 웹서버의 IP 주소가 없으므로, 라우터에서 다시 DNS로 질의합니다.

웹서버의 IP 주소를 알면, 그 IP 주소를 지정하여 웹브라우저와 웹서버 애플리케이션 간에 TCP 커넥션을 맺습니다.

웹브라우저와 웹서버 애플리케이션 간의 TCP 커넥션을 확립하고 나서부터, HTTP 리퀘스트와 HTTP 리스폰스를 주고받습니다. 웹브라우저에서 지정한 URL을 포함한 HTTP 리퀘스트(GET 메소드)가 웹서버 애플리케이션에 전송됩니다.

HTTP 리퀘스트를 받은 웹서버 애플리케이션은 요청된 웹페이지의 파일을 HTTP 리스폰스로 반환합니다. TCP에서 복수로 분할된 웹페이지의 파일을 조립하여 웹브라우저에 그 내용을 표시하면, 사용자는 웹사이트를 볼 수 있게 됩니다.


Point

  • 웹사이트를 볼 때는 DNS의 이름해석과 ARP의 주소해석 기능이 동작한다.
  • 웹사이트를 보는 때의 흐름
  1. 웹브라우저에서 URL을 입력
  2. 웹서버의 IP 주소를 해석
  3. TCP 커넥션 확립
  4. HTTP 리퀘스트 전송과 HTTP 리스폰스 전송


[참고 자료] https://velog.io/@wonhee010/%EC%9B%B9%EC%9D%98-%EB%8F%99%EC%9E%91-%EC%9B%90%EB%A6%AC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