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 목표
- 단방향 전송과 양방향 전송에 대하여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 동기식 전송과 비동기식 전송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 정보 다중화의 개념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 다중화 전송 방식의 종류별 특징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단방향과 양방향 전송
네트워크의 전송 방식은 정보를 주고 받는 방식을 말한다. 정보의 전송 방향과 정보 전송의 동시성 여부에 따라 단방향 전송 방식, 반이중 전송 방식 및 양방향 전송 방식으로 나눈다.
단방향 전송 방식
- 한쪽 방향으로만 전송, 라디오나 일반 공중파 텔레비전 방송
반이중 전송 방식
- 한쪽에서 정보를 보낼 때는 다른 쪽은 정보를 받을 수만 있는 방식, 팩스, 휴대용 무전기
양방향 전송 방식
- 동시에 양쪽 방향으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방식, 휴대 전화, 인터넷 통신
동기식 전송과 비동기식 전송
데이터를 전송할 때에는 송신기와 수신기의 두 장치가 데이터를 주고 받는데 필요한 시간적 기준을 일치시켜야 한다. 이것을 동기화라고 한다.
동기식 전송 방식
- 제한 문자 단위가 아니라 미리 정해진 수만큼의 문자열을 한 블록으로 만들어 프레임 단위로 일시에 전송하는 방법이다.
비동기식 전송 방식
- 한 번에 한 개의 문자 단위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저속의 통신장치에 이용된다. `
직렬 전송과 병렬 전송
직렬 전송 방식
- 한 개의 통신 회선을 통해서 문자를 구성하는 비트들을 한 비트 씩 순차적으로 하나의 전송로를 통해서 전송하는 방식
병렬 전송 방식
- 여러 개의 통신 회선을 사용하므로 각 회선마다 각자의 데이터 비트를 할당하여 한꺼번에 여러 비트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다중화의 개념
- 다중화는 한 개의 통신 회선을 다수의 사용자가 공동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수의 사용자들은 통신 회선을 공유한다.
- 다중화는 고속의 통신 회선에 상대적으로 저속인 통신 회선 사용자를 동시에 여러 명이 접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신망의 사용 효율을 극대화하고 통신 비용을 줄일 수 있다.
- 물리적인 통신 회선을 경로(PATH), 주어진 한 ㅆㅇ의 장치들 사이의 전송을 위한 하나의 경로를 채널(CHANNEL)이라고 한다. 하나의 경로에는 여러 개의 채널이 있을 수 있다.
다중화 전송 방식의 특징과 종류
다중화 전송 방식은 다중화를 위한 신호의 영역에 따라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 시분할 다중화 방식, 코드 분활 다중화 방식으로 나눈다.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FDM)
- 전송 매체를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구분되어 채널로 분할하여 각자의 정보를 해당 주파수 대역의 전송파로 변환하여 전송
- 하나의 전송로에 여러 개의 주파수 대역이 존재하고 이들 각각의 주파수 대역이 하나의 채널을 구성하기 때문에 가능
- 아날로그 텔레비전, 라디오 방송, CATV 방송, 위성 통신, 아날로그 이용 전화 시스템 등
시분할 다중화 방식(TDM)
- 시간을 일정구간의 시간 슬록으로 나누어 각 가입자에게 분배, 할당하고 가입자는 자신에게 할당된 시간 슬롯만을 이용하여 통화하도록 하는 방식
코드 분할 다중화 방식(CDM)
- 가입자 각자에게 할당된 고유의 코드를 사용하여 다중화하는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