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설정은 루트 계정으로 들어가서 해야한다.
MyAccount - IAM User and Role Access to Billing Information
에서 설정을 해주면 admin 권한을 가진 IAM 유저들도 청구서를 볼 수 있다.
부트스트랩핑: EC2 컴퓨터를 처음 시작할 때 생성되는 명령어이다.
EC2 User Data Script를 사용한다. 한 번 실행되고 그 뒤로는 실행되지 않는다.
https://velog.io/@janeljs/AWS-8
ssh 접속을 위해서는 키페어가 필요하다.
pem - Mac 혹은 Windows 10 이상이면 pem 파일 사용
ppk - Windows 7, 8 이하라면 ppk 사용, Putty 프로그램에서도 해당 형식 사용
EC2에 대한 보안그룹이 자동생성이 된다.
이 때 SSH 접속 허용, HTTP, HTTPS 접속 허용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Configure storage - 8기가 공짜
EBS 크기를 의미한다.
EBS 설정 - EC2 종료를 하면 자동 삭제가 되도록 설정하는 부분 존재
맨 밑에 User data 란이 존재
해당 입력란에 컴퓨터 처음 부팅할 때 실행되는 명령어 스크립트를 작성할 수 있다.
Public IP - 외부에서 EC2를 사용하기 위해서 접속할 수 있는 IP
Private IP - AWS네트워크 내에서 접근하기 위해 사용하는 IP
hostname, private IP DNS name 기타 등등... EC2 정보 볼 수 있다.
삭제할 거 아니면 종료 절대 금지!!!
public IP의 경우 pending 후 재시작을 했을 때 계속 변경된다.
private IP는 변경되지 않음
ec2에는 7가지 종류 존재
https://aws.amazon.com/ko/ec2/instance-types/
aws 네이밍 규칙이 존재
예시 - m5.2xlarge
m: instance class
5: generation of instance
2xlarge: size within the instance class
(클수록 메모리, 저장공간 더 커진다.)
방화벽 역할을 한다.
ip 및 포트 인바운드 아웃바운드 관리뿐만 아니라 EC2머신간의 connection도 관리할 수 있다. (로드밸런서에도 사용)
Classic Ports
22 - ssh
21 - ftp
22 - sftp
80 - http
443 - https
3389 - rdp : 윈도우 인스턴스에 로그인하는 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