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Config를 통해서 각 클래스는 실행에만 집중을 할 수 있게 되었다. \+) 위의 코드로 MemoryMemberRepository를 각각 생성하게 되면 static 변수를 사용했었기 때문에 오류는 안나지만 서비스 객체 마다 달른 레포지토리 객체를 할당받게 된다
순수 자바로 구현인터페이스를 사용함으로써 역할과 구현의 분리를 할 수 있다. 회원 정보 저장 방식이 달라진다 하더라도 다른 클래스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변경에 용이해진다. 위의 코드는 현재 역할과 구현 모두에 의존을 하고 있다. 내가 생각한 해결 방법?스프링 의존성
클래스의 인스턴스가 딱 1개만 생성되는 것을 보장하는 디자인 패턴싱글톤 패턴을 적용하면 고객의 요청이 올 때 마다 객체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만들어진 객체를 공유해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싱글톤 패턴을 구현하는 코드 자체가 많이 들어간다.의존관계상 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