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이것이 코딩테스트다. with Python
출처 - https://github.com/ndb796/python-for-coding-test/blob/master/7/5.py
(코드 저장을 못해서 답안 코드 첨부합니다..)
이진탐색을 이용해서 푸는 방법
# 이진 탐색 소스코드 구현 (반복문)
def binary_search(array, target, start, end):
while start <= end:
mid = (start + end) // 2
# 찾은 경우 중간점 인덱스 반환
if array[mid] == target:
return mid
# 중간점의 값보다 찾고자 하는 값이 작은 경우 왼쪽 확인
elif array[mid] > target:
end = mid - 1
# 중간점의 값보다 찾고자 하는 값이 작은 경우 오른쪽 확인
else:
start = mid + 1
return None
# N(가게의 부품 개수) 입력
n = int(input())
# 가게에 있는 전체 부품 번호를 공백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입력
array = list(map(int, input().split()))
array.sort() # 이진 탐색을 수행하기 위해 사전에 정렬 수행
# M(손님이 확인 요청한 부품 개수) 입력
m = int(input())
# 손님이 확인 요청한 전체 부품 번호를 공백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입력
x = list(map(int, input().split()))
# 손님이 확인 요청한 부품 번호를 하나씩 확인
for i in x:
# 해당 부품이 존재하는지 확인
result = binary_search(array, i, 0, n - 1)
if result != None:
print('yes', end=' ')
else:
print('no', end=' ')
이진탐색을 사용하지 않고 바로 생각해낼 수 있는 코드는 원소가 리스트에 있는지 확인하는 코드였다.
# N(가게의 부품 개수) 입력
n = int(input())
# 가게에 있는 전체 부품 번호를 입력 받아서 집합(Set) 자료형에 기록
array = set(map(int, input().split()))
# M(손님이 확인 요청한 부품 개수) 입력
m = int(input())
# 손님이 확인 요청한 전체 부품 번호를 공백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입력
x = list(map(int, input().split()))
# 손님이 확인 요청한 부품 번호를 하나씩 확인
for i in x:
# 해당 부품이 존재하는지 확인
if i in array:
print('yes', end=' ')
else:
print('no', end=' ')
계수정렬을 사용하는 방식도 있었는데 그건 내일...
def remain(h):
sum=0
for a in arr:
if a>h: #떡의 길이가 절단기보다 작으면 안 더함
sum+=a-h
return sum
def binary_search(start,end):
result=0
while start<=end:
h = (start+end)//2
sum = remain(h)
if sum<m:
end = h-1
else:
result = h #적어도 m이상이라고 했으므로 result에 저장함
start = h+1
return result
n,m = map(int,input().split())
arr = list(map(int,input().split()))
arr.sort()
start = 0
end = arr[-1]
print(binary_search(start,end))
sum을 기준으로 하는 이분 탐색 문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