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code에서 입력한 텍스트는 사람이 이해할수 있는 코드
Compile - 컴퓨터가 이해할수 있도록 binary(이진법) 코드로 바꾸는것을 Compile이라 한다. 0과 1로 구성된 binary 코드로 변형 된다. 오류가 없다면 이를 변형 시켜주는것을 Compiler라 한다.
-Warning : 컴파일은 되지만 문제점이 있다라는 뜻
-Error : 컴파일이 되지 않는다 라는뜻. 반듯이 수정해야함.
Link - 컴파일러가 정상적으로 코드를 binary로 변경 되었다 하더라도 바로 실행 되지 않습니다. 각 프레임 워크끼리 연결되어야 하는데 이를 Link라고 합니다. 이를 도와주는 것을 Linker라고 합니다.
Xcode는 IDE이기 때문에 알아서 Command + R을 누르면 알아서 Link 시켜줍니다.
이처럼 코드를 Complie하고 Link를 한후 실행하는것을 Build라고 합니다.
Run
DebugMode (앱을 만들때) - 개발진행중 실행파일에 오류를 찾는 디버그 정보가 포함되며 실행 파일이 커진다.
Release Mode (앱스토어에 올릴때) - 디버그 정보가가 나오지 않지게 최적화하여 실행하며 파일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다.
Build되는 과정을 Complie Time이라 하며 그 이후 Run되는 과정을 RunTime이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