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29) 두번째 Python

김진석·2022년 3월 29일
0

Boolean

boolean은 앞서 배운것과 같이 명제가 참인지 거짓인지를 구분하는 것이다.

console.log(true);
console.log(false);
console.log(1===1); // true
console.log(1===2); // false
console.log(1>2); // false
console.log(1<2); // true

이것을 Python에서

print(True)
print(False)
print(1 == 1)
print(1 == 2)
print(1 > 2)

으로 쓰면 값이 True, False, False 로 나온다.

조건문(conditional statements)

조건문은 말그대로 조건을 추가하는 명령문인데
쉽게 나누면 참인가 거짓인가를 구분 지은 다음 참이면 실행 거짓이면 실행하지 않게 된다.

console.log(1);
if(true){
console.log(2)
console.log(3)
}
console.log(4);

에서는 1 2 3 4 순으로 실행되는데

console.log(1);
if(false){
console.log(2)
console.log(3)
}
console.log(4);

에서는 1다음 4가 실행된다. 2와 3이 거짓이기에 작동하지 않는다.

print(1)
if True:
...print(2)
...print(3)
print(4)

print(1)
if False:
...print(2)
...print(3)
print(4)

파이썬은 띄어쓰기에 민감해서 ...을 꼭 tab으로 치환해서 줄을 잘맞춰야만 동작한다.

console.log(1);
if(true){
console.log(2.1)
console.log(3.1)
} else {
console.log(2.2)
console.log(3.2)
}
console.log(4);

에서는 1이 먼저 실행되고 그후 명제가 참이면 2.1 3.1 4가 실행되고 거짓이면 2.2 3.2 4 가 실행된다.

print(1)
if True:
...print(2.1)
...print(3.1)
else:
...print(2.2)
...print(3.2)
print(4)

print(1)
if False:
...print(2.1)
...print(3.1)
else:
...print(2.2)
...print(3.2)
print(4)

파이썬에서는 다음과 같이 표시하며 위와 작동원리는 같다.

반복문(Loop)

member = ['egoing', 'duru', 'taeho']
for(let i=0; i<member.length; i=i+1){
document.write('< li>'+member[i]+'</ li>');
}
member = {name: 'egoing', city: 'seoul'}

위의 코드는 맴버에 있는 모든 원소를 나열한다. 이를 파이썬으로 바꾸면

members = ['egoing', 'duru', 'taeho']
for member in members:
print('member', member)

로 나타낼 수 있다.

배열 안의 배열

위에서 리스트에 대해 배웠는데 파이썬에서는 배열안에 또다른 배열을 집어 넣을 수 있다.

members2 = [
['egoing','seoul','programmer'],
['duru','daegu','dba']
]

처럼 배열을 배열안에 넣으면서 관련성있는 것끼리 그룹핑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원하는 값을 얻으려면

print(members2[0][0])

을 하게 되면 제일 첫번째 배열의 첫번째 객체인 'egoing' 출력된다.

for member in members2:
print(member[0], member[1])

을 하게 되면 각각의 배열들의 첫번째와 두번째 가 순서대로 나오며
egoing seoul
duru daegu
라는 값을 출력한다.

하지만 이들은 보기에 조금 지저분하고 보기 힘든 구석이 있어서 보통은 사전형으로 배열을 만드는데

egoing2 ={'name':'egoing','city': 'seoul','job': 'programmer'}

이런 형태로 만들었을 때 좀 더 가독성을 챙길 수 있으며

print(egoing2['city'])

라는 명령문을 쓰면 seoul이라는 값을 출력하는데 좀 더 세세한 작업이 가능해진다.

ex)

members3 = [
{'name': 'egoing','city':'seoul','job': 'programmer'},
{'name': 'duru','city':'daegu','job': 'dba'}
]

for member in members3:
print(member['name'])

는 egoing, duru를 출력한다.

함수(function)

말그대로 연산식이다.

function sum(left, right){
return left+right;
}
console.log(sum(10,20)); // 30이 나온다.

는 파이썬으로

def sum(left,right):
return left+right
print(sum(10,20)) #30이 나온다.

오늘의 소감

오늘은 따라가기 조금 버겁긴 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놓치기 쉬운 부분이 없다고 생각이 된다. 하지만 난이도가 급격히 상승함을 느꼇고 내일부터 또 새로운 것을 배운다고 하니 정신바짝차리는 게 좋아 보인다.

profile
새로 시작한 코딩 초급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