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문, 연산자

하승진·2024년 7월 26일
0
post-thumbnail

반복문

조건형 반복문 : 조건이 참인 경우 반복을 유지

while

자바 문법이랑 같다. while은 조건형 반복문으로 if문 처럼 조건을 걸어 true일 때까지 반복 수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a++와 같은 증감 연산자를 볼 수 있는데,
a++(후위연산자)와 ++a(전위연산자)가 있고, 이 둘은 다르다.

  1. a++인 경우 이미지와 같이
    조건 true에 따라 0을 먼저 출력 후 한 사이클이 다 돌았을 때 +1을 한다.
    따라서 0 1 2 3 4 이렇게 가는 것이다.

  2. ++a인 경우
    조건 true에 따라 먼저 +1로 1이 되고, 출력을 한다.
    따라서 1 2 3 4 5 이렇게 된다.

그렇다면 그 반대인 감소 연산자는 --a, a-- 이렇게 해주면 된다. 원리는 같다.

do...while

do while은 while과는 다르게 일단 첫 번째 사이클은 무조건 수행 후 그 다음 사이클 부터는 조건에 따라 수행하는 것이다.

범위형 반복문 : 반복 범위를 정해 반복을 수행

for

for(i in 0..9)

for문의 예시문이다. 이는 i 가 0부터 9이내에서 수행함을 의미한다.
범위는 0 1 2 3 4 5 6 7 8 9 이다.

step 옵션

이미지와 같이 step은 말그대로 단계를 의미하기에 순회하는 규칙을 옵션으로 설정 가능하다.

감소의 for

for(i in 9 downTo 0)

for문의 증감과는 다르게 감소의 경우는 ".."이 아니라 "downTo"로 해줘야 한다.

정수만 되는가? 아니다.

for(i in 'a'..'e') {
	print(i)
}

이런 식으로 문자형에 대해서도 반복문은 동작한다.

흐름제어

return

  • 함수를 종료
  • 값을 반환

break

: 반복문이 실행되는 중간에 즉시 반복문을 종료하고, 다음 구문으로 넘어가는 역할

이미지와 같이 i가 3일 때 즉시 반복문 종료함으로써 결과는 1, 2 출력

continue

: 다음 반복조건으로 즉시 넘어가는 역할

i가 3일 때는 넘어가고, 다음 4일 때 출력문을 실행하기 때문에
결과는 3을 제외한 나머지 출력

label

: 다중 반복문에서 break나 continue가 적용되는 반복문을 지정하는 기능

기존 언어들에서 이중 반복문에 대해 특정 2차원 배열 인덱스에 break 걸 때는 if 문에서 i와 j의 특정 값일 때 break 거는 방식이였지만 이는 외부 반복문에도 체크를 해줘야 했다.

하지만 레이블을 달아주면 레이블이 달린 반복문을 기준으로 즉시 break 처리를 해준다.
break 뿐 아니라 continue도 마찬가지이다.

논리연산자

: 논리 값을 연산하여 새로운 논리 값을 도출하는 연산자

종류

  • && : and
  • || : or
  • ! : not
    => 이것은 JS와 같다.
profile
기어갈지언정 한 발자국씩이라도 가보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