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ome Day 온라인 컨퍼런스 강연 내용 정리 + 참여 후기

Jessie·2022년 9월 30일
1
post-thumbnail

AWSome Day 온라인 컨퍼런스 강연을 들으며 정리한 내용을 공유합니다.

어쩌다 이런걸 들었냐면...

요즘 진행 중인 프로젝트에서 AWS 서비스를 적용하고 있는데 이것저것 써보고 공부하는 재미가 쏠쏠하다. 더 제대로 알고 싶다는 생각이 들던 와중에 AWSome Day 온라인 컨퍼런스에 대한 메일을 받았다.

✉: 이 컨퍼런스에 참석하면...

  1. 5개의 강연을 통해 클라우드 기초 학습을 받을 수 있고
  2. AWS 전문가와 실시간 Q&A를 할 수 있고
  3. 5개 강연을 모두 시청하면 참석 증명서를 주겠다.

... 라는 메일이었다. 실시간으로 참석하지 못해도 녹화본이 제공되길래 등록했다.

아래서부터는 강의를 들으며 정리한 내용이며, 추가적으로 찾은 자료와 생각 등은 파랗게 표시해두었다.

AWS 클라우드 소개

클라우드와 온프레미스, 뭐가 다를까?

이미지 출처: https://www.aberdeen.com/blog-posts/cloud-vs-on-premise-tale-of-two-infrastructures/

회사가 서버, 스토리지, DB 등의 IT 리소스를 자체적으로 준비, 사용하고 관리하는 방식을 온프레미스라고 한다. 반면, 클라우드는 이미 구축된 IT 리소스를 인터넷을 통해 임대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클라우드를 사용하면 뭐가 좋을까?

  1. 리소스를 필요한 만큼만 사용하고 사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할 수 있다(온디맨드).
    ➡ 필요한 리소스 추정에 들어가는 시간/비용을 아낄 수 있다.
  2. 컴퓨팅 파워를 손쉽게 늘리고 줄일 수 있다.
  3. 보안, 네트워킹, 서버 등 미리 만들어진 기능들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 AWS 서비스를 통해 짧은 시간 안에 신기술 도입이나 아키텍처 변경 등 많은 시도를 할 수 있다. AWS에서는 이러한 개념을 fast fail, 자유로운 실수로 정의한다.

AWS 클라우드로 어떻게 내 서비스를 글로벌하게 배포할 수 있을까?

AWS 글로벌 인프라 맵

이미지 출처: https://aws.amazon.com/ko/about-aws/global-infrastructure/, 2022.09.30 기준.
기준 서비스 중인 리전과 가용 영역이다. 서울 리전에서는 4개의 가용 영역이 서비스되고 있다.

AWS 리소스는 전세계 여러 위치에서 호스팅되는데, 이런 지리적인 위치를 리전이라고 한다. 내 서비스를 서울 리전에도, 미국 리전에도 배포할 수 있다. 하나의 리전은 최소 2개 이상의 가용 영역(AZ)이라는 데이터 센터 집합으로 구성된다. 가용 영역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는데, 사용자가 여러 개의 가용 영역에 앱을 분산하면 정전, 지진 등과 같은 문제로부터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리전은 대표적인 도시명을 따서 명명하기 때문에 '서울 리전'은 가용 영역이 서울에 위치한다는 말이 아니다. 보안상의 이유로 가용 영역의 위치는 공개되지 않는다!)

리전에 따라 제공되는 서비스와 비용이 다르며, 리전을 선택할 때는 데이터 거버넌스도 고려해야 한다. ex) 어떤 데이터 반드시 특정 지역에 있어야 한다.

내 서비스를 배포할 리전을 선택할 때는 서비스 사용자와 가까운 리전을 선택해야 지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더 줄이려면 엣지 로케이션이라는 추가적인 시설물에서 제공하는 엣지 인프라 서비스를 사용하면 된다. DNS 서비스인 Amazon Route 53과 CDN 서비스인 Amazon CloudFront 등이 해당된다.

AWS 클라우드는 기존의 IT 인프라를 어떻게 구현했을까?

'AWS 클라우드 소개' 8번 슬라이드

이미지 출처: 'AWS 클라우드 소개' 8번 슬라이드

AWS 클라우드를 사용하면서 재밌다고 느꼈던 부분이 이 부분이다. 방화벽, 라우터 등 전공 수업 시간에 배웠었지만 '그런게 있구나~' 정도로 끝났었는데 AWS 클라우드로 구현된 서비스를 사용하면서 '이게 이거였구나!' 하고 깨닫는게 재밌었다. 네트워크 수업 재수강이나 청강하고 싶다😂

AWS 클라우드 핵심 서비스

서비스 유형서비스
1컴퓨팅Amazon EC2, AWS Lambda
2스토리지Amazon S3, Amazon EBS
3데이터베이스Amazon RDS, Amazon Aurora, Amazon DynamoDB
4네트워킹Amazon VPC, ELB, Amazon Route 53
5보안AWS IAM

1. 컴퓨팅

Amazon EC2 (Amazon Elastic Compute Cloud)

Amazon EC2

  • 원하는 운영체제, 컴퓨팅 유형, 스토리지 사이즈 등을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는 컴퓨팅 서비스

  • EC2 인스턴스는 AMI(Amazon Machine Image) 기준으로 만들어진다. AMI는 미리 구성된 운영체제 이미지로 생각하면 된다. 기업 또는 개인이 AMI를 구성해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있다. ex) ubuntu 20.04

  • EC2 인스턴스를 어떤 목적으로 사용할 것인지에 따라 EC 인스턴스의 유형(인스턴스 패밀리)과 크기를 선택할 수 있다. ex) T2.micro

  • 상황에 맞게 요금제를 선택할 수 있다.

    인스턴스 요금제 유형비용
    1온디맨드 인스턴스실행되는 인스턴스에 따라 초 단위로 비용을 지불한다.
    2예약 인스턴스(RI)온디맨드 인스턴스와 비교하여 상당히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3Saving Plan예약 인스턴스와 비슷하지만 더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다.
    4스팟 인스턴스인스턴스를 입찰하는 형식으로, 온디맨드 요금보다 90% 할인된
    가격으로 인스턴스를 사용할 수 있다. 시세에 다라 인스턴스
    사용이 종료될 수 있다.
  • Amazon EC2의 이점에는 탄력성, 유연성, 안정성, 보안, 저렴한 비용, 접근성 등이 있다. 특히 오토스케일링을 활용하면 트래픽이 몰릴 때 EC2 인스턴스 수를 늘려 요청을 처리하고 필요하지 않을 때 다시 줄여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 EC2 인스턴스는 stateless하게 관리할 수 있다.

stateless하다는게 뭘까?

  • stateful: 서버에서 클라이언트의 세션 정보를 저장한다.
  • stateless: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세션 정보를 저장하지 않고 요청에 대한 응답만 처리한다.

어... 그렇구나! 그래서 stateless하면 뭐가 좋은거지?

... A stateless application can scale horizontally since any request can be serviced by any of the available compute resources (that is, web server instances). When that capacity is no longer required, any individual resource can be safely terminated (after running tasks have been drained).
Stateless web tier - AWS 공식 문서

위 문서를 읽어보고 감을 잡았다. 웹 서버가 stateful하면, 웹 서버가 돌아가고 있는 EC2 인스턴스는 클라이언트의 세션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근데 이 상황에서 EC2 인스턴스를 추가해서 서버를 확장하면? 세션 정보를 추가된 인스턴스에도 옮겨주어야 한다. 웹 서버가 stateless하다면 인스턴스가 세션 정보를 저장하지 않기 때문에 인스턴스를 자유롭게 종료하고 추가해도 된다.

AWS Lambda

AWS Lambda

AWS가 제공하는 대표적인 서버리스 컴퓨팅 서비스이다.

...서버리스 컴퓨팅이 뭔데?

서버리스 = 사용자가 서버를 관리할 필요가 없다는 의미. 서버가 없다는 뜻이 아니다! 요청이나 이벤트가 있을 때만 서버를 동작시킨다는 의미이다. 이렇게 했을 떄의 장점은 유휴 상태, 즉 서버가 쉬는 상태에 대한 비용을 지불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EC2에 서버를 배포하면 EC2 인스턴스 실행 시간당 비용이 발생한다는 것을 생각해보자). AWS Lambda에 서버를 배포하면 필요할 때만 서버가 돌아가고 그만큼 비용이 청구된다.

AWS Lambda 사용 예시
'AWS 클라우드 핵심 서비스 소개: 컴퓨팅' 15번 슬라이드

이미지 출처: 'AWS 클라우드 핵심 서비스 소개: 컴퓨팅' 15번 슬라이드

사용자가 사진을 버킷에 업로드하면 Lamba 함수가 trigger된다. Lambda 함수는 이미지 크기를 조절해서 썸네일을 만들고 다른 버킷에 썸네일을 업로드한다.

썸네일 만들 때 Lambda 함수를 활용하면 뭐가 좋은데? 

나도 프로젝트에서 Lambda를 사용해서 유저의 프로필 이미지를 저장하고 있다!😳

이미지를 리사이징해서(썸네일을 만들어서) 저장하면 사용자가 이미지를 읽을 때 드는 트래픽을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이미지 리사이징은 CPU와 메모리를 많이 사용하는 작업으로, 서버에 부담을 줄 수 있다. 때문에 이미지 업로드 이벤트 발생 시 Lambda 함수로 이미지를 리사이징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면 노드 서버의 부담을 줄이고 자원을 절약하는 효과가 있다.

2. 스토리지

 'AWS 클라우드 핵심 서비스 소개: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4번 슬라이드

이미지 출처: 'AWS 클라우드 핵심 서비스 소개: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4번 슬라이드

Amaon S3 (Simple Storage Service)

Amazon S3

  1. Amazon S3은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이며, 데이터를 버킷 내에서 키-값 형태로 저장한다.

    • 파일 스토리지처럼 계층적으로 데이터에 접근하지 않는다.
    • 데이터를 저장할 때 고유한 객체 키를 할당하고, 키는 계층적 속성을 모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키를 통해 신속하게 객체를 검색하고 사용할 수 있다.
  2. 생성한 버킷과 객체에 대한 모든 액세스를 직접 제어할 수 있다.

  3. 내구성이 높다. Amazon S3에 10만 개의 객체를 저장하면 1만 년 동안 객체 1개가 손실될 수 있다고 함.

  4. Amazon S3은 저장할 수 있는 객체 수에 제한이 없다. 수평확장성이 높다.

  5. 이벤트 트리거 기능으로 객체 업로드, 삭제 등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사용자에게 알리거나 AWS Lambda 등의 다른 프로세스를 트리거 할 수 있다.

  6. Amazon S3에 업로드된 각 객체는 고유한 URL에 연결된다. 이를 활용해서 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에 사용할 수 있다.

Amazon S3 Glacier는 S3에서 선택할 수 있는 옵션 중 하나로, 데이터 아카이브용 스토리지에 적합하다. Amazon S3 Deep Archive는 더 저렴한 옵션이다.

Amazon EBS (Amazon Elastic Block Store)

Amazon EBS

  1. Amazon EBS는 블록 스토리지 서비스로, Amazon EC2 인스턴스에 사용하는 영구 블록 스토리지 볼륨을 제공한다.

  2. Amazon EBS의 유형

    1. 트랜잭션 워크로드를 위한 SSD 지원 스토리지
    2. 처리량 워크로드에 적합한 HDD 지원 스토리지
  3. 애플리케이션을 중단하지 않고도 볼륨 유형을 변경하거나 확장할 수 있다.

  4. 각 Amazon EBS 볼륨은 자동으로 가용 영역 내에 데이터를 미러링되어 고가용성 및 내구성 제공한다.

  5. 특정시점에 스냅샷을 생성해서 S3에 저장할 수 있다. 이 스냅샷으로 언제든지 새 볼륨을 생성할 수 있다.

  6. 추가 비용 없이 EBS 볼륨을 암호할 수 있다.

스토리지와 볼륨은 뭐가 다를까?

A storage volume is an identifiable unit of data storage. (중략) A volume is a named logical area of the physical disk. It serves as a type of container for the file system and provides a structure for accessing data. In this sense, a volume can be thought of as a logical disk, rather than the physical disk itself.

https://www.techtarget.com/searchstorage/definition/volume

➡️ 볼륨은 물리적 디스크의 논리적 단위이다.

파티션도 물리적 디스크의 논리적 단위 아닌가? 파티션과 볼륨은 뭐가 다른가?

In computer data storage, a volume or logical drive is a single accessible storage area with a single file system, typically (though not necessarily) resident on a single partition of a hard disk. Although a volume might be different from a physical disk drive, it can still be accessed with an operating system's logical interface. However, a volume differs from a partition.
Volume (computing) - Wikipedia

A partition is a logical division of a disk (either physical or virtual). If a physical disk is the equivalent of a filing cabinet, think of a partition as a drawer in that file cabinet.

A volume is a logical assembly of one or more partitions that is mounted by the operating system for use as a mass storage container. Think of a volume as being comprised of one or more filing cabinet drawers.
https://community.spiceworks.com/topic/2321843-what-is-the-difference-between-a-volume-and-a-partition-in-windows

➡️ 파티션은 디스크의 논리적 단위이다.

➡️ 볼륨은 하나의 파일 시스템을 갖춘 스토리지 영역으로, 하나 또는 여러 파티션에 상주할 수 있다.

➡️ 디스크를 캐비넷에 비유한다면, 파티션은 캐비넷의 서랍이고 볼륨은 서랍 하나 또는 여러개의 집합이다.

3. 데이터베이스

AWS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1. Amazon EC2에서 직접 데이터베이스 구축하기
  2. AWS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사용하기

후자의 경우 DB를 손쉽게 설정, 관리하고 유지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 프로비저닝, 데이터베이스 설정, 패치, 백업과 같은 시간 소모적인 관리 작업을 자동화 할 수 있다.

AWS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는 다음과 같이 다양한 옵션을 제공한다.

'AWS 클라우드 핵심 서비스 소개: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10
번 슬라이드

이미지 출처 :'AWS 클라우드 핵심 서비스 소개: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10번 슬라이드

Amazon RDS (Amazon Relational Database Service)

Amazon RDS

  • 가장 대표적인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이다.

  • 효율적인 비용으로 확장 가능한 용량을 제공한다.

  • 다양한 DB 엔진이 제공된다.

    • Postgre SQL, MariaDB, Oracle 및 Microsoft SQL Server ➡️ 상용 및 오픈소스 DB
    • Amazon AWS ➡️ AWS 자체 개발 DB
  • AWS Database Migration Service를 통해 기존 DB를 Amazon RDS로 손쉽게 옮길 수 있다.

  • Management Console, CLI 또는 SDK를 제공하며 간단한 API 호출로 DB를 사용할 수 있다.

  • DB를 가동하면서 DB 컴퓨팅 및 스토리지 리소스를 확장할 수 있다.

Amazon Aurora

Amazon Aurora

AWS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이다. MyQL 및 Postgre SQL과 호환된다. 상용 DB와 비교했을 때 DB 비용, 성능, 보안, 안정성과 가용성에서 이점을 누릴 수 있다.

Amazon DynamoDB

Amazon DynamoDB

빠르고 유연한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이다. 어떤 규모에서든 10밀리초 미만의 지연 시간을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문서 모델과 키-값 스토어 모델을 지원한다.

NoSQL 데이터베이스 모델
nosql database models

이미지 출처: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architecture/cloud-native/relational-vs-nosql-data

모델특징
Document Store데이터가 JSON 문서로 계층적으로 저장된다.
ex) MongoDB
Key-Value Store데이터가 키-값 형태로 저장된다.
ex) Redis
Wide-Column Store데이터가 열 내부에서 키-값 형태로 저장된다.
Graph Store데이터가 그래프 구조에 노드와 관계 형태로 저장된다.

4. 네트워킹

'AWS 클라우드 핵심 서비스 소개: 네트워킹, 보안' 10번 슬라이드

이미지 출처: 'AWS 클라우드 핵심 서비스 소개: 네트워킹, 보안' 10번 슬라이드

Amazon VPC (Amazon Virtual Private Cloud)

Amazon VPC

  • VPC는 논리적으로 격리되어 있는 계정 전용 가상 네트워크이다.

  • VPC로 IP 주소 범위 선택, 서브넷 생성, 라우팅 테이블 및 인터넷 게이트웨이 구성 등 가상 네트워킹 환경을 제어할 수 있으며 계층적으로 네트워크를 방어할 수 있다.

  • VPC는 한 리전 안에서, 여러 가용 영역에 걸쳐서 사용된다.

  • 기본적으로 VPC는 서로 통신할 수 없지만 VPC 피어링 또는 Transit Gateway를 통해 이를 연결할 수 있다.

  • VPC 내에서 EC2 인스턴스 같은 AWS 리소스를 생성해서 사용할 수 있다.

  • 하지만! VPC만 만들었다고 해서 EC2 인스턴스를 바로 배치할 수 없다. 서브넷이 필요하다.

  • 서브넷은 VPC IP 주소 범위 내의 파티션이다. 서브넷은 기본적으로 외부에서 접근 불가능한 프라이빗 서브넷이며, 접근 가능하도록 하려면 프라이빗 서브넷을 퍼블릭 서브넷으로 만들어야 한다.

  • 프라이빗 서브넷이 퍼블릭 서브넷이 되기 위한 3가지 조건

    1. 인터넷 게이트웨이라는 서비스를 생성해서 VPC에 연결해야 한다.

    2. 라우팅 테이블에서 해당 항목에 대한 트래픽 경로가 지정되어야 한다.

    3. 퍼블릭 서브넷에 있는 서비스가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는 퍼블릭 IP 주소를 가져야 한다.

VPC로 네트워크를 계층적으로 방어할 수 있다.

'AWS 클라우드 핵심 서비스 소개: 네트워킹, 보안' 7번 슬라이드

이미지 출처: 'AWS 클라우드 핵심 서비스 소개: 네트워킹, 보안' 7번 슬라이드

  1. VPC의 라우팅 테이블로 네트워크 트래픽이 전달되는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2. 서브넷의 ACL로 서브넷 외부, 외부 트래픽에 대해 SSH, 프로토콜, 포트 범위 및 소스 대상의 허용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3. 인스턴스에 보안 그룹(SG)을 설정해서 보안 그룹 별로 인바운드/아웃바운드 트래픽을 제어할 수 있다.
  4. 사용자가 직접 설치하는 서드 파티 솔루션으로도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ELB (Elastic Load Balancing)

ELB

  • ELB는 ELB로 수신되는 트래픽을 Amazon EC2 인스턴스, 컨테이너, IP 주소, Lambda 함수, 가상 어플라이언스 등 여러 대상에 자동으로 분산시키는 로드 밸런싱 서비스다.

  • ELB가 제공하는 로드 밸런서의 종류
    ELB가 제공하는 로드 밸런서의 종류

  • ELB의 특징

    1. 고가용성

      ELB는 트래픽을 단일 또는 여러 가용 영역의 Amazon EC2 인스턴스 등에 분산한다. 하나의 가용 영역의 대상에 문제가 생겨도 나머지 가용 영역으로 트래픽이 전달되므로 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다.

    2. 상태 확인

      ELB는 비정상 대상을 감지하고 해당 대상으로의 트래픽을 다른 트래픽으로 전달한다.

    3. 보안 기능

      Amazon VPC를 사용하면 ELB의 보안 그룹을 생성하여 보안을 관리할 수 있다.

Amazon Route 53

Amazon Route 53

  • Amazon Route 53은 가용성과 확장성이 뛰어난 클라우드 DNS 서비스이다.

  • 웹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도메인 이름을 등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면 Route 53은 이를 IP 정보로 변경하여 전달하고, 브라우저는 이 IP 주소로 웹사이트에 연결할 수 있다.

  • 다양한 라우팅 옵션을 제공한다. 지역 기반 라우터를 예로 들자면 싱가포르 접근 사용자는 싱가포르 리전으로, 버지니아 북부 접근 사용자는 버지니아 북부 리전으로 접속하도록 트래픽을 라우팅할 수 있다.

5. 보안

'AWS 클라우드 핵심 서비스 소개: 네트워킹, 보안' 13번 슬라이드

이미지 출처: 'AWS 클라우드 핵심 서비스 소개: 네트워킹, 보안' 13번 슬라이드

공동 책임 모델 : 보안은 AWS의 최우선 과제지만 고객 역시 보안에 있어서 책임져야 하는 부분이 있다.

  • 클라우드'의' 보안은 AWS의 책임이다. AWS는 모든 서비스를 실행하는 인프라를 보호할 책임이 있다.

  • 클라우드 '안'에서의 보안은 고객의 책임이다. 고객은 AWS가 제공하는 자격 증명, 서버 암호화 등으로 데이터를 보호해야 한다.

AWS IAM (AWS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

AWS IAM

  • 사용자 및 그룹, 역할을 만들고 관리할 수 있다.
  • AWS 서비스에서 생성한 리소스에 대한 접근을 통제할 수 있다.

사용자, 권한, 정책과 역할을 시나리오를 통해 이해해보자.

AWS 계정을 생성하면 AWS 서비스와 리소스에 complete access를 가지는 root 사용자가 생성된다. AWS 계정을 생성할 때 사용한 이메일 주소와 비밀번호로 로그인하면 root 사용자로 로그인된다. 비밀번호를 통해 '내가 root 사용자다! 라는 것을 증명한 것이다. 비밀번호 외에도 access key 등을 자격 증명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내 비밀번호가 어딘가 유출된다면 악의를 가진 누군가가 root 사용자로 로그인해서 내 소중한 리소스를 마구 사용할 수 있고 AWS는 내 앞으로 비용을 청구할 것이다😮

이런 불상사를 막기 위해 AWS가 대표적으로 권장하는 것이 두 가지가 있다.

  1. MFA (Multi-factor authentication) 사용하기
    • 쉽게 말해 다단계 인증이다. MFA를 설정하면 이메일과 비밀번호 외에도 추가적인 정보를 입력해야 로그인할 수 있다.
  2. IAM 사용자 추가
    • root 사용자 외에 IAM 사용자를 추가하고 ''정책(policy)"으로 권한을 제어할 수 있다. 정책은 권한의 집합으로, AWS가 미리 정의한 정책을 사용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정책을 생성할 수 있다.
    • AWS는 IAM 사용자에 대해서도 MFA를 설정하는 것을 권장한다.

user A를 만들고 'S3FullAccess' 정책을 연결하면 user A는 S3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다.

근데 만약 EC2 인스턴스에서 S3 파일을 읽고 쓰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이렇게 AWS 사용자가 아닌 객체 또는 다른 계정의 AWS 사용자에게 접근 권한을 주려면 정책으로 역할(role)을 만들어 위임해야 한다. 역할은 정책과 달리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회수된다.

__

이외에도 AWS 클라우드는 사물 인터넷, 기계 학습, 블록 체인, 인공 위성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참여 후기

  1. AWS의 핵심적인 서비스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됐다. 진작 들었으면 그 많은 삽질을 하지 않았을텐데(안하진 않았을거고 적게 했을텐데)😢

  2. VPC 같이 애매하게 이해하고 넘어갔던 서비스와 개념을 이해하는데 너무나 유익했다👍 삽질에 삽질을 거듭하며 얻은 어딘가 허접한 지식들을 AWS에서 직접 제공하는 최신 정보로 갈무리하는 느낌이었다.

  3. 실시간 강의는 잘 모르겠지만 녹화 영상은 배속 조절이 가능했고 자막이 제공되어 보기 편했다.

  4. AWSome Day라니! 이름을 참 재치있게 지은 것 같다.

  5. AWS 서비스 이외에도 AWS 프리 티어, AWS 안내서, AWS 자격증 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었다. AWS 공부하는 김에 자격증 따는 것도 생각중이다.

  6. 일정 기간 내에 강연을 다 수강하면 수료증과 Foundational 시험의 50% 할인 바우처를 받을 수 있고, 설문에 참여하면 AWS 클라우드 서비스에 사용할 수 있는 크레딧을 받을 수 있다. 사실 크레딧만 받아도 이득이라고 생각했다ㅎ

마치며

강연 내용을 정리하면서 너무 불필요한 내용까지 추가한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지만 누군가에게 AWS 서비스에 대해 설명할 때 이 포스팅 하나로 설명하겠다는 생각으로 정리했다. AWS 너무 재밌어서 올리고 싶은 내용이 한가득인데... 일해라! 인간아! 정리를! 해라! 일단! 올려라!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