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int()
- print("")로 따옴표 안의 문자열을 출력
- print()
print() > 두 번 반복하면 자동으로 줄바꿈 된다.
- 기본 자료형
- 숫자형(number) : 정수, 실수를 다루고 연산이 가능하다.
- 문자열(string) : 큰 따옴표와 작음 따옴표로 구분 (숫자에 따옴표를 붙이면 문자열로 전환됨)
- 리스트(list) : 여러 자료를 보관하는 자료형. 다른 종류의 자료를 함게 담을 수 있고, 넣는 순서대로 index값(순서)가 정해진다. 대괄호로 정의할 수 있다.
cf)주석(comment) : 한 줄 주석은 #, 여러 줄 주석은 (""" """)로 처리.
- 변수
- 변수(variable) : 자료를 담아서 보관하고 사용하는 것
- '변수 이름 = 자료' 형식으로 사용한다. (등호는 equal이 아닌 대입을 의미 ex.오른쪽의 자료를 왼쪽의 변수에 대입한다는 의미)
- 변수 이름 : 숫자, 알파벳, 한글, 언더바만 사용 가능
*짓는 방법
숫자로 시작 하면 x
숫자로만 구성된 변수 x
파이썬 문법에서 사용되는 예약어 ex) for, while if...
공백문자(space) 연산자(+-...사용 금지
변수에 문자열로 된 정수와 실수를 저장하면 print시 문자열로 분류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