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 13305번 주유소 (서브테스크 1)

정기홍·2024년 11월 22일
0

코딩테스트_파이썬

목록 보기
6/49

문제

어떤 나라에 N개의 도시가 있다. 이 도시들은 일직선 도로 위에 있다. 편의상 일직선을 수평 방향으로 두자. 제일 왼쪽의 도시에서 제일 오른쪽의 도시로 자동차를 이용하여 이동하려고 한다. 인접한 두 도시 사이의 도로들은 서로 길이가 다를 수 있다. 도로 길이의 단위는 km를 사용한다.

처음 출발할 때 자동차에는 기름이 없어서 주유소에서 기름을 넣고 출발하여야 한다. 기름통의 크기는 무제한이어서 얼마든지 많은 기름을 넣을 수 있다. 도로를 이용하여 이동할 때 1km마다 1리터의 기름을 사용한다. 각 도시에는 단 하나의 주유소가 있으며, 도시 마다 주유소의 리터당 가격은 다를 수 있다. 가격의 단위는 원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이 나라에 다음 그림처럼 4개의 도시가 있다고 하자. 원 안에 있는 숫자는 그 도시에 있는 주유소의 리터당 가격이다. 도로 위에 있는 숫자는 도로의 길이를 표시한 것이다.

제일 왼쪽 도시에서 6리터의 기름을 넣고, 더 이상의 주유 없이 제일 오른쪽 도시까지 이동하면 총 비용은 30원이다. 만약 제일 왼쪽 도시에서 2리터의 기름을 넣고(2×5 = 10원) 다음 번 도시까지 이동한 후 3리터의 기름을 넣고(3×2 = 6원) 다음 도시에서 1리터의 기름을 넣어(1×4 = 4원) 제일 오른쪽 도시로 이동하면, 총 비용은 20원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 제일 왼쪽 도시에서 2리터의 기름을 넣고(2×5 = 10원) 다음 번 도시까지 이동한 후 4리터의 기름을 넣고(4×2 = 8원) 제일 오른쪽 도시까지 이동하면, 총 비용은 18원이다.

각 도시에 있는 주유소의 기름 가격과, 각 도시를 연결하는 도로의 길이를 입력으로 받아 제일 왼쪽 도시에서 제일 오른쪽 도시로 이동하는 최소의 비용을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 표준 입력으로 다음 정보가 주어진다. 첫 번째 줄에는 도시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수 N(2 ≤ N ≤ 100,000)이 주어진다. 다음 줄에는 인접한 두 도시를 연결하는 도로의 길이가 제일 왼쪽 도로부터 N-1개의 자연수로 주어진다. 다음 줄에는 주유소의 리터당 가격이 제일 왼쪽 도시부터 순서대로 N개의 자연수로 주어진다. 제일 왼쪽 도시부터 제일 오른쪽 도시까지의 거리는 1이상 1,000,000,000 이하의 자연수이다. 리터당 가격은 1 이상 1,000,000,000 이하의 자연수이다.

출력

  • 표준 출력으로 제일 왼쪽 도시에서 제일 오른쪽 도시로 가는 최소 비용을 출력한다.

풀이

station = int(input())

gas = list(map(int, input().split()))

cost = list(map(int, input().split()))

min_cost = min(cost[:station - 1])
result = 0
for i in range(station - 1):
  recent = cost[i]
  if (recent > min_cost):
    result += gas[i] * recent
  else:
    result += recent * sum(gas[i:])
    break

print(result)

해당 방법은 간단하게, 가장 적은 비용을 가진 주유소를 찾을 때까지, 필요한 만큼만 주유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만약 가장 적은 비용을 가진 주요소를 찾는다면, 거기에서 모두 주유하여 운전한다.


후기

인덱싱을 활용하여 수행했는데, 인덱싱에 익숙치 않아서 살짝 헤메었다. 인덱싱에 유의하자. 그리고 나머지 있는 서브테스크도 추가해서 풀어보자.


추가 공부

1. 기본 인덱싱

  • 양수 인덱스: 0부터 시작하여 요소에 접근합니다.
    my_list = [10, 20, 30, 40, 50]
    print(my_list[0])  # 10
    print(my_list[2])  # 30
  • 음수 인덱스: 끝에서부터 요소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print(my_list[-1])  # 50 (마지막 요소)
print(my_list[-3])  # 30 (세 번째 요소)

2. 슬라이싱

슬라이싱은 인덱스를 사용하여 시퀀스의 일부를 선택하는 방법입니다.

### 리스트 슬라이싱
print(my_list[1:4])  # [20, 30, 40] (1번 인덱스부터 3번 인덱스까지)
print(my_list[:3])   # [10, 20, 30] (처음부터 2번 인덱스까지)
print(my_list[2:])   # [30, 40, 50] (2번 인덱스부터 끝까지)
print(my_list[-3:])  # [30, 40, 50] (끝에서 3번째부터 끝까지)

3. 인덱스 오류

인덱스가 범위를 벗어나면 IndexError가 발생합니다.

print(my_list[5])  # IndexError: list index out of range

4. 문자열 인덱싱

문자열도 리스트와 유사하게 인덱싱할 수 있습니다.

my_string = "Hello"
print(my_string[1])  # 'e'
print(my_string[-1])  # 'o'

5. 튜플 인덱싱

튜플도 리스트와 같은 방식으로 인덱싱할 수 있습니다.

my_tuple = (1, 2, 3, 4)
print(my_tuple[2])  # 3
profile
하나를 알고 그걸로 모든걸 관통한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