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 frontend 기초지식

정혜원·2021년 9월 22일
0

React

목록 보기
1/10
post-thumbnail

오늘 공부한 내용 필기

프론트엔드 기초지식

1. 웹의 동작

  • 웹 = 클라이언트+서버
  1. 클라이언트(요청)
  2. 서버(데이터, 정적지원(html,css,js)를 전송)

2.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하는 일

  • 화면을 그리고, 데이터 끼얹기(보이는 부분의 전반적인 부분을 담당한다.)

3. 서버리스

  • 서버가 없는것이 아닌 서버를 빌려씀으로써 백엔드의 작업이 없는 것

HTML

프론트엔드라면 꼭 알아야 하는

1.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은 마크업의 언어이다.

  • 마크업 : 표시하다(텍스트에 표시하는 언어)

2. < div >,< h1 > 같은 태그들은 하나의 요소이다.

3. 요소가 모인 한줄 한줄이 객체이다.

<div class="cat"> 
            <h3>1. 고양이 밥주기</h3> //객체
            <p>고양이 물, 사료 챙겨주기</p> //객체
            <button type="button"s>완료</button> //객체
            </div>

태그 하나하나는 모두 요소(elements)이다.

4.HTML은 DOM(document object model) 구조이다. = 문서 객체 모델 구조

  1. DOM은 tree구조 이다.
    - tree구조 : 포함구조 (부모요소에 자식요소 포함)
    <div class="cat">
              <h3>1. 고양이 밥주기</h3>
              <p>고양이 물, 사료 챙겨주기</p>
              <button type="button"s>완료</button>
              </div>
              //<div>안에 <h3>,<p>,<button> 요소가 포함되어있고, <body>안에 <div> 요소가 포함되어있다. --> 트리구조
  2. 검사에서 DOM의 부모요소에 접근하기.
    • document.부모요소
  3. 검사에서 DOM의 자식요소에 접근하기.
    • document.부모요소.children
    • document.getElemetsByTagname("h1")

css

프론트엔드 개발자라면 알아야하는

1. selector = 선택자

  1. #id { ... }
  2. .class { ... }
  3. Tagname { ... }
  4. 다중 선택자 : ' , '으로 이어주기
    • .class , #id , Tagname { ... }
  5. 수도 클래스 선택자 : 어떤 요소가 특정 상태일때를 선택자로 두기
    • button : hover { ... }
      ' : '으로 상태를 이어준다.

2. 그리드 시스템 = 레이아웃을 어떻게 잡을거야?

  • 레이아웃(layout) : 요소의 배치, 배열
  1. 박스모델
    • 모든 요소들은 기본적으로 박스모델이다.
    • 레이아웃을 예쁘게 하기위해 알아야 한다.
    • 아래가 박스모델이다. border을 기준으로 생각하면 된다.
  2. 그리드 시스템 = 클라이언트에게 컨텐츠를 최적의 상태로 보여 줄 수 있도록 하기위한 도구.
    • 컨텐츠는 유동적으로 변할수도있기 때문에 그리드 시스템이 필요하다.
    • displaytable, grid, flex로 설정하면 알아서 비율에 맞춰 사용할 수 있다.
  • 왜인지 모르겠지만, 내가 flex를 사용해봤더니 안됐다. 그래서 inline-block으로 사용했더니 되었다. 그리드 부분은 조금 더 공부해서 포스팅해야겠다.

3. css의 사칙연산

  • 고객의 브라우저의 크기에 맞출때 사용
    선택자 { 
     속성:clac( X % - Y px )
    }
profile
매일 조금씩 성장하는 개발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