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구조_Tuple의 모든 것

jaam._.mini·2023년 11월 17일
0

📒Python 기초 수학

목록 보기
36/46
post-custom-banner

튜플(Tuple)은 한번 아이템을 설정하면 변경, 수정, 삭제가 불가능 하다..!


1. 튜플 선언

()를 이용해 선언하고 데이터 구분은 , 를 이용 한다

myFamilyNames = ('아빠', '엄마','나','동생')
print(myFamilyNames)

2. item 조회

numbers = (1,2,3,4,5,6,7,8,9)
print('numbers[4]: {}'.format(numbers[4]))

numbers[4]: 5

- 🏷️실습

students = ('A','B','C','D')

print('---인덱스 짝수---')
print('students[0] : {}'.format(students[0]))
print('students[2] : {}'.format(students[2]))
print('---인덱스 홀수---')
print('students[1] : {}'.format(students[1]))
print('students[3] : {}'.format(students[3]))

for i in range(len(students)):
= 🏷️for i in range(4) " 4명이라서 4회 반복, len()과 동일한 결과로 출력됨

    if i % 2 == 0:
        print('인덱스 짝수 : students[{}] : {}'.format(i, students[i]))
    else:
        print('인덱스 홀수 : students[{}] : {}'.format(i, students[i]))

인덱스 짝수 : students[0] : A
인덱스 홀수 : students[1] : B
인덱스 짝수 : students[2] : C
인덱스 홀수 : students[3] : D

3. in, not in 키워드

  • in : 있으면 True / 없으면 False
  • not in : 있으면 False / 없으면 True
studentsTuple = ('A','B','C','D','E')

searchName = input('이름 입력 : ')

if searchName in studentsTuple:
    print('{}은 우리반이 맞아요'.format(searchName))
else:
    print('{}은 우리반이 아니에요'.format(searchName))

이름 입력 : H
H은 우리반이 아니에요

- 🏷️실습1

Q> 컴퓨터가 1부터 10까지 5개의 난수를 생성한 후 사용자가 입력한 숫자가 있는지 없는지 출력하는 프로그램 제작

  • (range(1,11),5) : 1~10까지 5개 출력
import random

randomNumbers = random.sample(range(1,11),5)

userNumber = int(input('숫자 입력(확률 50%): '))

if userNumber in randomNumbers:
    print('빙고')
else:
    print('다음!')

print('randomNumbers : {}'.format(randomNumbers))
print('userNumber : {}'.format(userNumber))

숫자 입력(확률 50%): 5
빙고
randomNumbers : [8, 7, 2, 9, 5]
userNumber : 5

- 🏷️실습2

Q> 문장 속에 비속어사 있는지 알아내는 프로그램

wrongWord = ['쩔었다','짭새','꼽사리','먹튀','지린','쪼개다','뒷담 까다']
sentence = '짭새 등장에 강도들은 모두 쩔었다. 그리고 강도 들은 지린 듯 도망갔다'

for word in wrongWord:
    if word in sentence:
        print('비속어 : {}'.format(word))

비속어 : 쩔었다
비속어 : 짭새
비속어 : 지린

4. len()

1) 길이_ len

students = ('A','B','C','D','E')
sLength = len(students)
print('length of students : {}'.format(sLength))

length of students : 5

2) 조회_ for/while

  • for() + 이터러블 ⭐간단⭐
for student in students:
    print('student : {}'.format(student))

student : A
student : B
student : C
student : D
student : E
  • for()
for i in range(len(students)):
    print('i : {}'.format(i))
    print('students[{}] : {}'.format(i, students[i]))

i : 0
students[0] : A
i : 1
students[1] : B
i : 2
students[2] : C
i : 3
students[3] : D
i : 4
students[4] : E
  • while()
n = 0
sLength = len(students)

while n < sLength:
    print('n : {}',format(n))
    print('students[{}] : {}'.format(n, students[n]))

    n += 1

n : {} 0
students[0] : A
n : {} 1
students[1] : B
n : {} 2
students[2] : C
n : {} 3
students[3] : D
n : {} 4
students[4] : E

5. + 연산

list() : extend(), + 연산 이용
tuple() : + 연산을 이용

myFavoriteNumber = (1,3,5,6,7)
friendFavoriteNumber = (2,3,5,8,10)

print('myFavoriteNumber : {}'.format(myFavoriteNumber))
print('friendFavoriteNumber : {}'.format(friendFavoriteNumber))

for n in friendFavoriteNumber: 
    if n not in myFavoriteNumber:
        myFavoriteNumber = myFavoriteNumber + (n, )
        
# 친구 번호에서 아이템을 추출하겠다
    # 그 아이템들이 나의 번호에 없다면
        # ★(값, ) 하면 순간 튜플로 바뀜!
        # 나의 번호에 추가해라

print('myFavoriteNumber: {}'.format(myFavoriteNumber))

myFavoriteNumber: (1, 3, 5, 6, 7, 2, 8, 10)

6. slice()


7. list() <-> Tuple()

🏷️실습


Q> 튜플을 이용한 점수표에서 최저, 최고 점수를 삭제한 후 총점과 평균 출력

playerScore = (9.5,8.9,9.2,9.8,8.8,9.8)
print('playerScore {}'.format(playerScore))
print(type(playerScore))

playerScore = list(playerScore)
print(type(playerScore))

playerScore.sort()
print('playerScore: {}'.format(playerScore))
playerScore.pop(0)
playerScore.pop(len(playerScore)-1)

playerScore = tuple(playerScore)
print('playerScore: {}'.format(playerScore))
print(type(playerScore))

sum =0
ang =0
for s in playerScore:
    sum =+ s

avg = sum / len(playerScore)

print('총점 : {}'.format(sum))
print('평균: {}'.format(avg))

playerScore (9.5, 8.9, 9.2, 9.8, 8.8, 9.8)
<class 'tuple'>
<class 'list'>
playerScore: [8.8, 8.9, 9.2, 9.5, 9.8, 9.8]
playerScore: (8.9, 9.2, 9.5, 9.8)
<class 'tuple'>
총점 : 9.8
평균: 2.45

8. sorted()_ 정렬

🏷️실습

platScore = (9.5,8.9,9.2,9.8,8.8,9.0)
print('platScore : {}'.format(platScore))
print(type(platScore))

print('-'*50)

platScore = list(platScore)
print(type(platScore))
platScore.sort()
print('platScore: {}'.format(platScore))

print('-'*50)

platScore.pop(0)
platScore.pop(len(platScore)-1)
print('platScore: {}'.format(platScore))

print('-'*50)

platScore = tuple(platScore)
print(type(platScore))
print('platScore: {}'.format(platScore))

platScore : (9.5, 8.9, 9.2, 9.8, 8.8, 9.0)
<class 'tuple'>
--------------------------------------------------
<class 'list'>
platScore: [8.8, 8.9, 9.0, 9.2, 9.5, 9.8]
--------------------------------------------------
platScore: [8.9, 9.0, 9.2, 9.5]
--------------------------------------------------
<class 'tuple'>
platScore: (8.9, 9.0, 9.2, 9.5)

9. for() 조회 _ 전체 조회

studentCnt = (1,19), (2,20), (3,22), (4,18), (5,21)

for classNo, cnt in studentCnt:
    print('{}학급 학생수 : {}'.format(classNo, cnt))

1학급 학생수 : 19
2학급 학생수 : 20
3학급 학생수 : 22
4학급 학생수 : 18
5학급 학생수 : 21

🏷️실습

studentCnt = (1,18), (2,19), (3,23), (4,21), (5,20), (6,22), (7,17)

sum =0
avg =0

for classNo, s in studentCnt:
    print('{}학급 학생수 : {}'.format(classNo, s))
    sum += s

print('전체 학생수 : {}'.format(sum))
print('평균 : {}'.format(sum/len(studentCnt)))

1학급 학생수 : 18
2학급 학생수 : 19
3학급 학생수 : 23
4학급 학생수 : 21
5학급 학생수 : 20
6학급 학생수 : 22
7학급 학생수 : 17
전체 학생수 : 140
평균 : 20.0

10. for() if() 조회 _ 각 item을 조회

🏷️실습_1

minScore = 60

korS = int(input('국어 점수 : '))
engS = int(input('영어 점수 : '))
matS = int(input('수학 점수 : '))
sciS = int(input('과학 점수 : '))

scores = (
    ('국어', korS),
    ('영어', engS),
    ('수학', matS),
    ('과학', sciS)
)

for subject, score in scores:
    if score < minScore:
        print('{}과목 과락 점수 : {}'.format(subject, score))

국어 점수 : 81
영어 점수 : 71
수학 점수 : 61
과학 점수 : 41
과학과목 과락 점수 : 41

🏷️실습_2

[최저]

  • for classNo, s in studentsCnt: : 학급과 학생수 [전체 아이템]을 조회

  • if minStudent == 0 : 처음 들어오는 값을 먼저 대입

  • minStudent > c : 최저 값이 아닌 경우

  • minClass = classNo : 최저 학급으로 바꿔줌, =으로 진행

  • minStudent = s : 최저 학생수를 바꿔 줌, =으로 진행

[최고]

  • if maxStudent < s: : s보다 최대 학생수가 작다 = maxStudent가 최고 값인줄 알았는데 최고가 아니라면

  • maxClass = classNo : 최고 학급을 바꾸고

  • maxStudent = s : 최고 학생수도 바꾼다

studentsCnt = (1,18),(2,19),(3,23), (4,21),(5,20),(6,22),(7,17)

minClass =0
maxClass =0

minStudent =0
maxStudent =0

for classNo, s in studentsCnt:
    if minStudent == 0 or minStudent > s:
        minClass = classNo
        minStudent = s

    if maxStudent < s:
        maxClass = classNo
        maxStudent = s

print('학생수가 가장 작은 학급(학생수) : {}학급({}명)'.<format(minClass, minStudent))
print('학생수가 가장 많은 학급(학생수) : {}학급({}명)'.format(maxClass, maxStudent))

학생수가 가장 작은 학급(학생수) : 7학급(17명)
학생수가 가장 많은 학급(학생수) : 3학급(23명)

11. while()

🏷️실습_1

studentCnt = (1,18), (2,19), (3,23), (4,21), (5,20), (6,22), (7,17)

sum =0
avg =0

n =0
while n < len(studentCnt):
    classNo = studentCnt[n][0]
    cnt = studentCnt[n][1]
    print('{}학급 학생수 : {}명'.format(classNo, cnt))

    sum += cnt
    n += 1
    
print('전체학생수 : {}명'.format(sum))
print('평균 : {}명'.format(sum/len(studentCnt)))

1학급 학생수 : 18명
2학급 학생수 : 19명
3학급 학생수 : 23명
4학급 학생수 : 21명
5학급 학생수 : 20명
6학급 학생수 : 22명
7학급 학생수 : 17명

전체학생수 : 140명
평균 : 20.0명

🏷️실습_2

Q> while과 if 문을 이용해 과락과목 출력하기

-1번 방법 : while() if()

minScore = 60
scores = (
    ('국어', 58),
    ('영어', 77),
    ('수학', 89),
    ('과학', 99),
    ('국사', 50),
)

n =0
while n < len(scores):
    if scores[n][1] < minScore:
        print('{}과목 과락 : {}점'.format(scores[n][0], scores[n][1]))

    n += 1

-2번 방법 : while() if() + continue

minScore = 60
scores = (
    ('국어', 58),
    ('영어', 77),
    ('수학', 89),
    ('과학', 99),
    ('국사', 50),
)

n =0
while n <len(scores):
    if scores[n][1] >= minScore:
        n += 1
        continue
        
    print('{}과목 과락 : {}점'.format(scores[n][0], scores[n][1]))

    n += 1

국어과목 과락 : 58점
국사과목 과락 : 50점

🏷️실습_3

  • minCnt > studentsCnt[n][1]: : 인덱스 0번째 점수(18점) 보다 클때
  • minClassNo = studentsCnt[n][0] : 최저 학급인 studentsCnt[n][0]로 바꾸고
  • minCnt = studentsCnt[n][1]:최저 학생수인 studentsCnt[n][1]로 바꾼다.
studentsCnt = (1,18),(2,19),(3,23), (4,21),(5,20),(6,22),(7,17)

minClassNo =0
maxClassNo =0

minCnt =0
maxCnt =0
n =0
while n < len(studentsCnt):
    if minCnt ==0 or minCnt > studentsCnt[n][1]:
        minClassNo = studentsCnt[n][0]
        minCnt = studentsCnt[n][1]
    if maxCnt < studentsCnt[n][1]:
        maxClassNo = studentsCnt[n][0]
        maxCnt = studentsCnt[n][1]

    n += 1

print('최저 학급{}의 학생수 : {}'.format(minClassNo, minCnt))
print('최고 학급{}의 학생수 : {}'.format(maxClassNo, maxCnt))

최저 학급7의 학생수 : 17
최고 학급3의 학생수 : 23

출처/참고 : 제로베이스 데이터 스쿨
profile
비전공자의 데이터 공부법
post-custom-bann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