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트롤러의 중요한 역할중 하나는 HTTP 요청이 정상인지 검증하는 것이다.
그리고 정상 로직보다 이런 검증 로직을 잘 개발하는 것이 어쩌면 더 어려울 수 있다.
지금까지 만든 웹 애플리케이션은 폼 입력시 숫자를 문자로 작성하거나해서 검증 오류가 발생하면 오류 화면으로 바로 이동한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는 처음부터 해당 폼으로 다시 이동해서 입력을 해야 한다.
웹 서비스는 폼 입력시 오류가 발생하면, 고객이 입력한 데이터를 유지한 상태로 어떤 오류가 발생했는지 친절하게 알려주어야 한다.
검증에 실패한 경우 고객에게 다시 상품 등록 폼을 보여주고, 어떤 값을 잘못 입력했는지 친절하게 알려주어야 한다.
요구사항
@PostMapping("/add")
public String addItem(@ModelAttribute Item item, RedirectAttributes redirectAttributes, Model model) {
Map<String, String> errors = new HashMap<>();
if(!StringUtils.hasText(item.getItemName())) {
errors.put("itemName", "상품 이름은 필수입니다.");
}
if(item.getPrice() == null || item.getPrice() < 1000 || item.getPrice() > 1000000) {
errors.put("price", "가격은 1,000원 ~ 1,000,000원 까지 허용합니다.");
}
if (item.getQuantity() == null || item.getQuantity() >= 9999) {
errors.put("quantity", "수량은 최대 9,999개 까지 허용합니다.");
}
// 특정 필드가 아닌 복합 룰 검증
if (item.getPrice() != null && item.getQuantity() != null) {
int resultPrice = item.getPrice() * item.getQuantity();
if (resultPrice < 10000) {
errors.put("globalError", "가격 * 수량은 10,000원 이상이어야 합니다.");
}
}
...
}
BindResult는 스프링이 제공하는 검증 오류 처리 방법이다.
기존엔 Map으로 에러들을 관리했지만, BindingResult는 특이하게 바로 앞에있는 객체와 자동 바인딩 되어 그 객체에서 발생하는 에러들을 관리해준다.
BindResult의 장점은 데이터 바인딩 시 오류가 발생해도 컨트롤러가
호출된다!
@PostMapping("/add")
public String addItemV1(@ModelAttribute Item item, BindingResult bindingResult, RedirectAttributes redirectAttributes, Model model) {
if(!StringUtils.hasText(item.getItemName())) {
bindingResult.addError(new FieldError("item", "itemName", "상품 이름은 필수 입니다."));
}
if(item.getPrice() == null || item.getPrice() < 1000 || item.getPrice() > 1000000) {
bindingResult.addError(new FieldError("item", "price", "가격은 1000~1000000까지"));
}
if (item.getQuantity() == null || item.getQuantity() >= 9999) {
bindingResult.addError(new FieldError("item", "quantity", "수량은 9999까지"));
}
// 특정 필드가 아닌 복합 룰 검증
if (item.getPrice() != null && item.getQuantity() != null) {
int resultPrice = item.getPrice() * item.getQuantity();
if (resultPrice < 10000) {
bindingResult.addError(new ObjectError("item", "가격 * 수량은 10000 이상"));
}
}
...
}
BindingResult bindingResult 파라미터의 위치는 @ModelAttribute Item item 다음에 와야 한다.
Item 뒤에 있으므로 Item에 자동 바인딩 된다.
BindingResult는 FieldError와 ObjectError 생성자를 제공한다.
필드에 오류가 있으면 FieldError 객체를 생성해서 bindingResult 에 담아두면 된다.
public FieldError(String objectName, String field, String defaultMessage);
public FieldError(String objectName, String field, @Nullable Object
rejectedValue, boolean bindingFailure, @Nullable String[] codes, @Nullable Object[] arguments, @Nullable String defaultMessage);
사용자의 입력 데이터가 컨트롤러의 @ModelAttribute 에 바인딩되는 시점에 오류가 발생하면 모델 객체에 사용자 입력 값을 유지하기 어렵다.
예를 들어서 가격에 숫자가 아닌 문자가 입력된다면 가격은 Integer 타입이므로 문자를 보관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그래서 오류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 입력 값을 보관하는 별도의 방법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렇게 보관한 사용자 입력 값을 검증 오류 발생시 화면에 다시 출력하면 된다.
FieldError 는 오류 발생시 사용자 입력 값을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특정 필드를 넘어서는 글로벌 오류가 있으면 ObjectError 객체를 생성해서 bindingResult 에 담아두면 된다.
ObjectErrors 의 생성자와 사용법은 FieldError와 거의 흡사하다.
타임리프는 스프링의 BindingResult 를 활용해서 편리하게 검증 오류를 표현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BindingResult는 Model에 자동으로 포함된다.
<div th:if="${#fields.hasGlobalErrors()}">
<p class="field-error" th:each="err : ${#fields.globalErrors()}" th:text="${err}">글로벌 오류 메시지</p>
</div>
<div>
<label for="itemName" th:text="#{label.item.itemName}">상품명</label>
<input type="text" id="itemName" th:field="*{itemName}"
th:errorclass="field-error"
class="form-control" placeholder="이름을 입력하세요">
<div class = "field-error" th:errors="*{itemName}">상품명 오류</div>
</d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