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팀 프로젝트가 시작됐다!
첫 팀장을 맡아 프로젝트의 initial setup을 하다보니 -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들이 많았는데, 팀 회고 이전에 정리를 해보겠다.
지난 프로젝트부터 Library나 Package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다 보니 Pods 관련해서 몰랐던 부분이 나왔다.
그동안 팀 프로젝트를 하면서 모든 파일을 'git add .'로 커밋을 했었다.
그러다 보니 Pods를 포함한 다양한 파일들이 자동적으로 올라간 경우가 많았는데, 오늘 구성해보면서 gitIgnore에 추가해야하는 폴더가 하나 더 생겼다.
Pods는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패키지와 라이브러리를 담고 있는 폴더 및 파일이다.
해당 파일이 있어야 프로젝트를 실행할 수 있다보니 필요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사실상 올리면 안되는 코드라고 한다.
아직 이해를 완벽하게 하지 못했지만 Pods는 컴퓨터별로 담는 정보가 다르다.
그렇기에 기기별로 실행하는 Pods의 값들이 모두 다르게 나오다보니 github에 하나의 Pods 파일을 올리게 될 경우, clone 받은 컴퓨터에서 실행이 안되거나 올릴 때마다 conflict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한다.
따라서 Pods는 개개인 컴퓨터에서 새로 생성을 해야한다고 하는데,
이 방식을 gitIgnore을 통해 처리를 한다!
방식은 생각보다 쉬운데, ".gitIgnore"에 /Pods/ 를 추가해서 올리는 프로젝트 파일에 패키지와 라이브러리를 제외한 이외의 파일들을 올리도록 처리한다.
이후, clone을 받거나 pull 받은 개발자는 pod install을 해서 pull 받은 프로젝트 폴더가 가진 podfile안에 있는 pod를 설치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