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클라우드 플랫폼.
클라우드 컴퓨팅 : IT 리소스를 인터넷을 통해 온디맨드로 제공하고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
클라우드 유형:
AWS 기본 용어)
가상화 : 물리적 컴퓨터 하드웨어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세스.
가상 머신 : 소프트웨어 형식으로 물리적 컴퓨팅을 시뮬레이션하는 가상 환경. 논리적 요소(스냅샷) 제공.
스냅샷 : 특정 시점에 스토리지의 파일 시스템을 포착해 보관하는 기술. Rollback에 유용함.
데이터 센터 : 수많은 서버들을 한 데 모아 네트워크로 연결해 놓은 시설.
Region(지역) : Data Center가 위치한 지역.
Availablity Zone(가용 영역) : 하나의 Region은 두 개 이상의 AZ으로 구성됨.
AWS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서비스 중 하나로, 서버를 할당 받을 때 사용됩니다.
인스턴스 : 하나의 가상 컴퓨팅 환경으로 보면 됩니다.
AMI(Amazon Machine Image) : 인스턴스를 만드는 템플릿(운영체제와 여러 소프트웨어를 갖고 있음.)입니다.
인스턴스 유형 : CPU, 메모리, 스토리지, 네트워킹 용량
키 페어를 통해서 인스턴스에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인스턴스 스토어 볼륨 : 각각의 스토리지 볼륨.
Amazon EBS : 스토어 볼륨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도구.
보안 그룹 : 인스턴스에 연결할 수 있는 설정 제공.
탄력적 IP 주소 (EIP) : 고정 IPv4 주소.
태그 : 사용자가 생성하여 EC2 리소스에 할당할 수 있는 메타데이터.
VPC(Virtual Private Clouds) : AWS 클라우드에서는 논리적으로 격리되어 있으나, 연결이 가능한 가상 네트워크.
키 페어 생성 : 인스턴스에 접속하기 위한 키 생성. 다운로드된 파일을 잘 갖고 있어야 함.
인스턴스 시작 : 인스턴스 생성.
인스턴스 접속 : 맥은 터미널에서, 윈도우는 putty를 이용하여 EC2에 접속한다. putty 사용법
로그인 시) 우분투 : ubuntu / 리눅스 : ec2-user
탄력적 IP 메뉴 이동.
리스트 중 탄력적 IP 주소 선택 (아마 최대 5개).
탄력적 IP 주소 연결 : 생성했던 인스턴스에 할당.
Elastic Beanstalk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배포하고 관리할 수 있는 AWS 클라우드 서비스입니다.
Elastic Beanstalk를 사용하면 선택 또는 제어에 대한 제한 없이 관리 복잡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앱 파일을 업로드하기만 하면, 용량 프로비저닝, 로드 밸런싱, 조정, 상태 모니터링 등을 자동으로 수행해 줍니다.
Elastic Beanstalk는 Go, Java, .NET, Node.js, PHP, Python, Ruby에서 개발된 앱을 지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