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엔지니어링 데브코스 2기] TIL-7주차-파트05 AWS 클라우드(4)

이재호·2023년 11월 23일
0

1. AWS CLI

  • AWS 서비스를 관리하는 통합 도구입니다. 스크립트를 통해서 서비스를 자동화 및 제어할 수 있습니다.
  • 설치 명령어 : pip install awscli.
  • 설치 확인 명령어 : aws --version
  • aws configure를 통해서 초기 설정(키 세팅)을 해 주어야 합니다.
  • 액세스 키는 IAM에서 생성하거나 확인하면 됩니다.
  • aws configure를 통해서 액세스 키와 리전을 입력합니다.
  • aws configure list를 통해서 등록된 정보를 확인합니다.
  • aws s3 ls를 통해서 s3로 접속해 봅니다.
  • aws s3 mb s3://folder-name를 통해서 s3에 폴더(버킷)를 생성합니다.
  • aws s3 sync . s3://folder-name를 통해서 현재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을 해당 버킷에 전송합니다.
  • aws s3 rm s3://folder-name --recursive를 통해서 하위 디렉토리(recurisve)까지 모든 파일을 제거합니다.
  • s3 외에도 다른 서비스들의 명령어 관련 가이드라인도 있으니, 해당 가이드라인들을 참고하면서 cli 명령어를 입력하면 됩니다.



2. RDS

  • RDS 서비스에서 서브넷 그룹을 생성합니다. VPC 및 서브넷 가용 영역(private)을 선택합니다.
  • 위에서 설정한 서브넷 그룹에 DB가 들어갈 수 있도록 설정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합니다.
  • 서브넷 주소를 통해서 DB에 접속합니다.



3. Front

  • S3에서 버킷을 생성합니다. 이때 버킷이름은 도메인명과 동일하게 입력합니다.
  • 해당 버킷의 웹 호스팅 기능을 활성화 및 퍼블릭 액세스 활성화를 합니다.
  • 버킷에 빌드된 소스 파일들을 올려 줍니다.
  • 엔드포인트를 클릭하여 웹 페이지를 확인합니다.



4. CI/CD

  • 1) CodePipline에서 파이프라인에서 파이프라인 생성을 클릭합니다.
  • 2) 이름을 설정한 후, 소스 스테이지에서 Github을 선택합니다.
  • 2) GitHub 연결이 안 되어 있다면 최초 GitHub에 연결합니다.
  • 2) 레포지터리 및 브랜치를 선택합니다.
  • 3) 빌드에서 AWS CodeBuild를 선택합니다.
  • 3) 프로젝트 이름 선택 혹은 프로젝트 생성을 통해 코드 빌드 프로젝트를 설정합니다.
  • 4) 배포 공급자에서 CodeDeploy를 선택하여 ELB를 통해 배포하도록 설정합니다. 없다면 생성해 줍니다.

다음과 같은 순서로 CI/CD가 실행됩니다.
1. 소스 가져 오기
2. 빌드 하기
3. Deploy 하기




5. Route 53

  • 호스팅 영역 생성을 합니다. 이때 등록한 도메인명을 입력합니다.
  • 생성된 호스팅 영역의 name-server를 통해서 외부 도메인 업체에 연결을 합니다.
  • CloudFront에서 배포 생성을 선택하고, S3의 도메인에 연결합니다.
  • Route 53의 호스팅 영역에서 레코드를 생성합니다.
  • 레코드 이름 : www.~~
  • 레코드 유형 : A - Ipv4
  • 라우팅 대상 : S3
profile
천천히, 그리고 꾸준히.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