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빅오는 점근적 실행 시간을 표기할때 가장 널리 쓰이는 수학적 표기 방법이다. 여기서 점근적 실행 시간이란 간단하게 n이라는 입력값이 무한대로 커질떄의 실행 시간의 추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충분히 큰 입력값에서의 알고리즘의 효율성에 따라 수행 시간이 크게 차이가 날 수 있다.
입력값에 상관없이 일정한 실행시간을 최고!의 알고리즘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상수 시간에 실행된다 해도 상수값이 상상 이상으로 클 경우 사실상 일정한 시간의 의미가 없다. 최고의 알고리즘이 될 수 있지만 그만큼 신중해야 한다.
📌 코드 예시
function O_1_algorithm(arr, index) {
return arr[index];
}
let arr = [1, 2, 3, 4, 5];
let index = 1;
let result = O_1_algorithm(arr, index);
console.log(result); // 2
알고리즘을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입력값에 비례한다. 이러한 알고리즘을 선형 시간 알고리즘이라 부른다. 정렬되지 않은리스트에서 최대 또는 최솟값을 찾는 경우가 해당되며 모든 입렵값을 적어도 한 번 이상은 살펴봐야 한다.
📌 코드 예시
function O_n_algorithm(n) {
for (let i = 0; i < n; i++) {
// do something for 1 second
}
}
function another_O_n_algorithm(n) {
for (let i = 0; i < 2n; i++) {
// do something for 1 second
}
}
로그는 매우 큰 입력값에서도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편이다. 매우 견고한 알고리즘으로 이진 탐색의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이해하기 쉬운 게임으로 비유해 보자면 up & down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버블 정렬 같은 비효율저긴 정렬 알고리즘이 이에 해당 한다.
O(n2)은 quadratic complexity라고 부르며, 입력값이 증가함에 따라 시간이 n의 제곱수의 비율로 증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입력값이 1일 경우 1초가 걸리던 알고리즘에 5라는 값을 주었더니 25초가 걸리게 된다면, 이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는 O(n2)라고 표현합니다.
📌 코드 예시
function O_quadratic_algorithm(n) {
for (let i = 0; i < n; i++) {
for (let j = 0; j < n; j++) {
// do something for 1 second
}
}
}
function another_O_quadratic_algorithm(n) {
for (let i = 0; i < n; i++) {
for (let j = 0; j < n; j++) {
for (let k = 0; k < n; k++) {
// do something for 1 second
}
}
}
}
📌 코드 예시
function fibonacci(n) {
if (n <= 1) {
return 1;
}
return fibonacci(n - 1) + fibonacci(n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