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 가보고 싶었던 컨퍼런스인 FEconf 2025에 다녀왔다.
신청 일자를 놓친 탓에 이번에도 못 갈뻔 했지만, 다행히 양도를 받아 참여할 수 있었다.
첫 FEconf는 아쉬움이 많이 남았다.
주제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한 경우가 있어 내용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한 경우도 있었고, 이전 후기들을 통해 다양한 기업 부스 체험을 기대했지만 작년보다 기업 부스 갯수가 확연하게 줄어 입장 시작 1시간 만에 부스 사은품이 다 떨어진 탓에 스티커만 받아왔다. 부스 사은품이 다 떨어져 사람들이 모이지 않자 관리자분들이 자리를 비우는 경우도 있었고, 부스에 가도 아무런 액션을 취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여러 기업 부스에 참여해 굿즈도 받고 채용 관련 상담도 받고 싶었지만 그러지 못한 것이 아쉬웠다.
또 하나 느낀 점은, 혼자보단 지인들과 함께 왔다면 더 좋았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번 FEconf는 네트워킹에 중점을 두었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는데 낯가림이 있는 나는 네트워킹 행사를 많이 즐기지 못했다. 지인과 함께 있었다면 조금은 수월하게 네트워킹에 참여할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았다.
나는 Lightning Talk 세션에 많이 참여했다. 다른 세션은 유튜브에 업로드 된다는 이야기를 듣기도 했고, 아래 사진처럼 자리를 잡지 못하면 발표 자료가 잘 안보였기 때문이다.
Lightning Talk 세션은 다른 세션보단 가벼운 주제지만, 유익한 내용을 많이 들을 수 있었다.
기억에 남는 세션은
이다.
AI와 관련된 세션이 생각보다 많았고, 특히 Figma MCP + Cursor 환경을 구축해 UI 요소를 빠르게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한 사례를 주제로 한 세션을 들었을 땐 나도 적용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흥미롭게 발표를 들었던 것 같다.
킵올빌런의 은퇴식도 직관할 수 있었다. (기억할게요 킵올빌런)
비IT기업에서 개발자로 일하고 있는 내가 취해야 할 자세도 배울 수 있었다. (티를 팍팍 내자)
메인 세션의 발표 내용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한 것은 아쉽지만, Lightning Talk 세션에서 유익한 정보와 내용을 많이 얻을 수 있었다.
다음 FEconf가 열리기 전까지 많이 성장해서 내년에는 메인 세션의 내용도 잘 흡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