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acles of Human Language: An Introduction to Linguistics - M1

Jajuna_99·2022년 11월 7일
0

Miracles of Human Language: An Introduction to Linguistic

professor : Marc van Oostendorp

개요

자연어 처리에 항상 관심이 많아 어떻게 공부를 할까 고민하던 중 읽은 블로그에서 소개한 언어학 강의를 듣게 됐다.

원래 언어, 특히 외국어에 대한 관심이 많았고, 나중에 어떤 분야를 가던 AI와 언어를 접목한 분야에 대한 공부를 계속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고, 교양 겸 언어학 공부 겸 블로그에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정리하게 됐다.

이 수업은 MOOC 방식이고 총 5개의 모듈로 나눠서 진행된다.

첫번째 모듈을 글에서 정리할 예정이다.

Module 1

Introduction to Linguistics, 언어학 소개

첫 번째 모듈에서는 언어학에서는 무엇을 배우고, 어떤 연구 분야들이 있고, 언어학자들이 어떤 분야에 관심이 많은지, 어떻게 공부하는지, 즉, 언어학이란 무엇인지 총체적으로 '맛을 보는' 모듈이다.

언어학이라는 분야에서 중점적으로 다뤄지는 부분은

  • 언어란 무엇인가?
  • 몇 개의 언어가 존재하는가?
  • 어떻게 언어를 세야하는가?
  • 어떻게 언어가 연관되어 있는가?
  • 언어학자들은 무엇을 하는가?
  • 언어학자들은 어떻게 자료를 수집하는가?

등이 간략하게 있겠다. 조금만 봐도 거시적이고 많은 부분을 다뤄야할 것 같다. 실제로 언어역사학, 언어사회학, 언어심리학 음성학, 기호학, 문법학, 언어보존, 언어탐구 및 수집, 언어와 뇌의 관련 연구 등 이외에도 언어라는 것을 알기 위해 탐구하는 부분이 엄청나게 광범위하다.

물론 나는 언어학에서 얻는 통찰력을 컴퓨터과학과 연관 짓기 위해 공부한다는 점을 잊지 않으면서 공부해야겠다.

그 중에 내가 좋아하는 문학이나 철학에 이 지식들이 스며든다면 아주 좋을 것이다.

이제 언어학이란 무엇인지 보자.

언어의 3요소(dimension)

인간의 언어와 다른 언어(컴퓨터 언어, 동물들의 언어 등)를 구분짓는 결정적인 3가지 요소가 있다.

  • Discrete Infinity : 유한한 객체로 무한한 조합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이 한가지 특징이다. 대표적인 예시로 "알파벳"이 있겠다.
  • Displacement : 인간들은 시공간이나 추상적인 개념들에 대해서 말할 수 있다. 즉,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했더라도 언어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 Joint Attention : 공통된 목적을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대방의 상황을 인지하고 "읽을 수" 있어야 한다.

무엇이 언어를 언어로 만드는가?

강의에서 언어의 3가지 조건을 소개해줬다.

  • native speaker가 있어야 한다. 즉, 고향, 부모로 부터 언어를 배운 사람들이 있어야한다.
  • 그 언어를 알고있고, 소통되는 공동체가 있어야 한다.
  • 그 언어의 객체를 통해 모든 것이 설명 가능해야 한다. (by combining finites)

우리는 왜 언어를 사용하는가?

우리가 언어를 사용하는 이유는 생각하고, 아이디어를 전달하고, 자기 자신을 알리기위함이다.

수화, sign language

수화 또한 언어학에서 자주 다뤄지는 문제이다. 일단 가장 근본적인 문제로는 수화가 언어인가? 라는 질문부터 답해야겠다. 이 질문의 답은 "그렇다"이다. 수화 또한 언어의 체계를 완벽하게 갖고 있다. 소리내 말하기(speech)만 빼고.

그리고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범하는 오류가 있다. 이는 전세계에서 통용되는 하나의 수화가 있다는 것이다. 각 지역마다 사용하는 수화가 다르고 다른 방법 또한 다르다.

모든 인간이 언어를 사용하는가?

몇몇의 예외를 빼면 정답은 "그렇다"이다.

왜냐하면 이 예외들은 "보호자가 없이 자란 'wolf children'", 신체적, 정신적 폭행을 당한 사람, 혹은 실어증 같은 의학적으로, 외부적으로 충격을 받은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극한의 상황에 놓인 몇몇의 사람들을 제외하고는 "사람이라 함은 언어를 사용한다"라고 말할 수 있다.

언어는 어떻게 진화했는가?

두 가지 이론들이 있다.

  • Continuity based theories : 인간들의 언어는 동물들의 언어로부터 이어져 진화된 것이다. Tomasello와 Pinker과 대표적인 학자들이다.
  • Dincontinuity based theories : 인간들의 언어는 어느 순간 변화되어 구분되어졌다. Chomsky가 대표적인 학자이다.

모든 언어가 같은 조상에서 왔는가?

약간의 세모의 'yes'이다. 현재까지 과학적으로 밝혀진 바 어느 한 지역(North East America)에서 언어가 발생했다고 추정할 수 있는 모양이다.

그래서 학회의 분위기는 'yes'라고 하지만 그 진실은 아마 절대 알 수 없을 것 같다고 하셨다.

몇 개의 언어들이 존재하는가?

  • 객관적인 지표가 없어서 언어들을 정확히 세는 것은 힘들다고 한다. (방언, 정치 권력 등) 대략적으로 6000개에서 7000정도로 추정한다.

Ethnologue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되는 '언어' 그 자체 온라인 백과사전, 데이터베이스로 약 3800개 이상의 언어에 대한 정보가 빼곡하게 기록되어 업데이트 된다.

언어 사용자는 얼마나 되고, 어디서 사용되고, 유래가 어떻게 되고, 이중, 다중 언어 구사자들이 있는지 등

언어학자들이 하는 일

사실 언어라는 것이 덮는 분야가 매우 넓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언어의 기원을 찾는 언어역사학자가 있을 수 있고, 음성학, 언어보존 (소수 민족들의 언어를 발견해서 기록하는 등), 언어철학, 언어심리학, 문학에 관련된 언어를 연구하는 문헌학자, 언어과학, 언어사회학, 언어에서 이론적으로 파생되는 문법, 언어이론학 등등 사실상 언어와 관련된 모든 분야를 전방위적으로 언어학이라고 하다. 실제로 언어학자들은 언어와 관련된 여러 분야에서 연구를 한다고 한다.

요약

언어에 대한 정말 피상적인 개념과 공부하는 법에 대해 알아봤고, 다음 모듈에서는 음성학에 대해 알아본다.

아직까지는 너무 얕은 정도의 지식이라서... 사실 조금 당황스럽다. 강의에서 추천, 제시해준 자료들을 좀 더 봐야겠다.

profile
Learning bunch, mostly computer and language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