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는 하위 계층을 처리할 수 있지만 그 반대는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L7스위치는 모든 계층을 처리할 수 있지만 AP는 물리 계층밖에 처리하지 못한다.
스위치는 여러 장비들을 연결하여 데이터 통신을 중재하며 목적지가 연결된 포트로만 전기 신호를 보내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네트워크 장비이다. 이 중에서 L7 스위치
는 로드밸런서
라고도 하며 서버의 부하를 분산하는 기기이다. 클라이언트로부터 오는 요청을 여러 서버로 나누는 역할을 한다.
만약 장애가 발생하는 서버가 있다면 헬스 체크
를 통해 이를 판별한다. 헬스 체크
는 전송 주기와 재전송 횟수 등을 설정한 이후 반복적으로 서버에 요청을 보낸다. 이 요청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다면 정상적인 서버로 판별한다.
로드밸런서의 대표적인 기능은 서버 이중화
가 있다. 로드밸런서는 2대 이상의 서버를 기반으로 가상 IP를 제공하고 이를 기반으로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버를 이중화하여 한 서버에서 장애가 발생해도 다른 서버로 접근하게끔 하여 서비스를 운용할 수 있게 한다.
여려 개의 네트워크를 연결, 분할, 구분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다른 네트워크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최소 경로로 패킷을 포워딩하는 장비이다.
L3 스위치는 L2 스위치의 기능과 라우팅 기능을 갖춘 장비를 말한다. L3을 라우터
라고 해도 무방하다. 라우터는 소프트웨어 기반과 하드웨어 기반으로 나누어 진다. 이 중에서 하드웨어 기반의 라우팅을 담당하는 것이 L3 스위치이다. L3 스위치는 IP주소
를 참조한다.
L2 스위치는 장치들의 MAC 주소
를 MAC 주소 테이블을 통해 관리하며 연결된 장치로 패킷이 왔을 때 패킷을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IP 주소는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단순히 패킷의 MAC 주소를 읽어 스위칭하는 역할만 한다. 목적지가 MAC 주소 테이블에 없다면 전체 포트에 전달하고 일정 시간 이후 테이블의 주소를 삭제하는 기능도 있다.
브리지는 두 개의 근거리 통신망을 상호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망 연결 장치이다. 포트와 포트 사이의 다리역할을 하며 장치에서 받아온 MAC 주소를 MAC 주소 테이블로 관리한다. 브리지는 통신망 범위를 확장하고, 서로 다른 LAN을 하나의 통신망으로 구축할 때 쓰인다.
LAN 카드
라고도 하며 보통 두대 이상의 컴퓨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데 사용한다. 네트워크와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도록 컴퓨터 내에 설치하는 확장 카드이다. 각 LAN 카드에는 고유의 식별번호인 MAC 주소
가 담겨있다.
리피터는 들어오는 약해진 신호를 증폭하여 다른 쪽으로 전달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하지만 광케이블이 보급됨에 따라 현재는 잘 쓰이지 않는 장치이다.
패킷을 복사하는 기기이다. AP에 유선 LAN을 연결하고 다른 장치에서는 무선 LAN 기술을 사용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연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