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출처 : [BOJ 1966] 프린터 큐, https://www.acmicpc.net/problem/1966
여러분도 알다시피 여러분의 프린터 기기는 여러분이 인쇄하고자 하는 문서를 인쇄 명령을 받은 ‘순서대로’, 즉 먼저 요청된 것을 먼저 인쇄한다. 여러 개의 문서가 쌓인다면 Queue 자료구조에 쌓여서 FIFO - First In First Out - 에 따라 인쇄가 되게 된다. 하지만 상근이는 새로운 프린터기 내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는데, 이 프린터기는 다음과 같은 조건에 따라 인쇄를 하게 된다.
- 현재 Queue의 가장 앞에 있는 문서의 ‘중요도’를 확인한다.
- 나머지 문서들 중 현재 문서보다 중요도가 높은 문서가 하나라도 있다면, 이 문서를 인쇄하지 않고 Queue의 가장 뒤에 재배치 한다. 그렇지 않다면 바로 인쇄를 한다.
예를 들어 Queue에 4개의 문서(A B C D)가 있고, 중요도가 2 1 4 3 라면 C를 인쇄하고, 다음으로 D를 인쇄하고 A, B를 인쇄하게 된다.
여러분이 할 일은, 현재 Queue에 있는 문서의 수와 중요도가 주어졌을 때, 어떤 한 문서가 몇 번째로 인쇄되는지 알아내는 것이다. 예를 들어 위의 예에서 C문서는 1번째로, A문서는 3번째로 인쇄되게 된다.
첫 줄에 테스트케이스의 수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케이스는 두 줄로 이루어져 있다.
테스트케이스의 첫 번째 줄에는 문서의 개수 N(1 ≤ N ≤ 100)과, 몇 번째로 인쇄되었는지 궁금한 문서가 현재 Queue에서 몇 번째에 놓여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수 M(0 ≤ M < N)이 주어진다. 이때 맨 왼쪽은 0번째라고 하자. 두 번째 줄에는 N개 문서의 중요도가 차례대로 주어진다. 중요도는 1 이상 9 이하의 정수이고, 중요도가 같은 문서가 여러 개 있을 수도 있다.
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 문서가 몇 번째로 인쇄되는지 출력한다.
예제 입력
3
1 0
5
4 2
1 2 3 4
6 0
1 1 9 1 1 1
예제 출력
1
2
5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BufferedWrit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io.OutputStreamWriter;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LinkedList;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PrinterQueue{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BufferedWriter bw = new BufferedWriter(new OutputStreamWriter(System.out));
// 테스트 케이스의 수
int T = Integer.parseInt(br.readLine());
for(int i = 0; i < T; i++) {
// 큐로 사용할 LinkedList
LinkedList<Doc> queue = new LinkedList<>();
// 프린터에서 출력된 순서대로 담아 줄 ArrayList
ArrayList<Doc> list = new ArrayList<>();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 ");
int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 ");
// StringTokenizer의 토큰 갯수를 저장해 줄 변수
int length = st.countTokens();
// 중요도와 초기 순서를 저장하는 Doc을 인스턴스화 하여 queue에 저장
for(int j = 0; j < length; j++) {
int priority = Integer.parseInt(st.nextToken());
queue.add(new Doc(priority, j));
}
// queue가 빌 때까지 반복
while(!queue.isEmpty()) {
/*
* 가장 먼저 들어온 문서를 queue에서 빼낸 뒤,
* 해당 문서의 중요도를 max 변수에 대입
*/
Doc doc = queue.poll();
int max = doc.getPriority();
/*
* 이후 queue에 들어있는 문서를 앞에서부터 순회하며
* 처음 저장된 문서보다 중요도가 높은 문서가 있다면,
* 가장 앞에 있던 문서를 queue의 맨 뒤에 추가하고
* 더 높은 중요도를 가진 문서로 max 값을 갱신한뒤에
* 바로 반복문을 탈출한다.
*/
for(int j = 0; j < queue.size(); j++) {
if(doc.getPriority() < queue.get(j).getPriority()) {
queue.offer(doc);
max = queue.get(j).getPriority();
break;
}
}
// queue의 가장 앞에 있는 문서의 중요도가 가장 높을 경우 출력
if(max == doc.getPriority()) {
list.add(doc);
}
}
/*
* 출력 한 순서대로 저장되어있는 ArrayList를 순회하다 해당 문서의
* 초기 순서와 M 값이 일치할 경우, j에 1을 더한 값이 출력값이 된다.
*/
for(int j = 0; j < list.size(); j++) {
if(M == list.get(j).getIndex()) {
bw.write(++j + "");
break;
}
}
bw.newLine();
}
bw.flush();
bw.close();
br.close();
}
}
//문서의 중요도와 초기 순서를 저장하기 위한 클래스
class Doc{
private int priority;
private int index;
public Doc(int priority, int index) {
this.priority = priority;
this.index = index;
}
public int getPriority() {
return this.priority;
}
public int getIndex() {
return this.index;
}
}
왠지 어디서 많이 본 문제 같다... 했는데 예전에 프로그래머스에서 풀어 본 문제였다...🙄
그때는 priority queue에 comparator를 이용해서 엄청 짧은 코드로 구현했던 것 같은데
이번에는 queue와 class를 이용해서 한 번 구현해봤다.
분명히 풀 때는 길다고 느끼진 않았는데 주석도 달고 하다 보니 코드가 굉장히 길어진 것 같기도 하다 ㅎㅎ;😭
그래도 같은 문제지만 이전에 풀었던 방식이랑 다른 방식으로 문제에 접근해봤으니 만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