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출처 : [BOJ 2667] 단지번호붙이기, https://www.acmicpc.net/problem/2667
<그림 1>과 같이 정사각형 모양의 지도가 있다. 1은 집이 있는 곳을, 0은 집이 없는 곳을 나타낸다. 철수는 이 지도를 가지고 연결된 집의 모임인 단지를 정의하고, 단지에 번호를 붙이려 한다. 여기서 연결되었다는 것은 어떤 집이 좌우, 혹은 아래위로 다른 집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대각선상에 집이 있는 경우는 연결된 것이 아니다. <그림 2>는 <그림 1>을 단지별로 번호를 붙인 것이다. 지도를 입력하여 단지수를 출력하고, 각 단지에 속하는 집의 수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첫 번째 줄에는 지도의 크기 N(정사각형이므로 가로와 세로의 크기는 같으며 5≤N≤25)이 입력되고, 그 다음 N줄에는 각각 N개의 자료(0혹은 1)가 입력된다.
첫 번째 줄에는 총 단지수를 출력하시오. 그리고 각 단지내 집의 수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하시오.
예제 입력
7
0110100
0110101
1110101
0000111
0100000
0111110
0111000
예제 출력
3
7
8
9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Collections;
import java.util.Stack;
public class DanG {
static int[][] map;
static boolean[][] visited;
static int[] location;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ArrayList<Integer> list = new ArrayList<>();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map = new int[N][N];
visited = new boolean[N][N];
for(int i = 0; i < N; i++){
String line = br.readLine();
for(int j = 0; j < line.length(); j++){
map[i][j] = line.charAt(j) - '0';
}
}
/*
* 지도를 순회하다 방문하지 않은 집이 있을 경우,
* 해당 좌표를 기준으로 search 메서드 호출
*/
for(int i = 0; i < N; i++){
for(int j = 0; j < N; j++){
if(visited[i][j] == false && map[i][j] == 1){
list.add(search(new int[] {i, j}));
}
}
}
// 단지의 크기가 작은 순서부터 출력해야 하므로 오름차순 정렬
Collections.sort(list);
sb.append(list.size() + "\n");
for(int i = 0; i < list.size() - 1; i++){
sb.append(list.get(i) + "\n");
}
sb.append(list.get(list.size() - 1));
System.out.println(sb);
}
// 단지에 있는 집의 수를 반환해주는 메서드
static int search(int[] location){
int[] dy = {-1, 0, 1, 0};
int[] dx = {0, 1, 0, -1};
int y = location[0];
int x = location[1];
Stack<int[]> stack = new Stack<>();
// 단지 내 집의 수를 저장해 줄 변수
int count = 0;
visited[y][x] = true;
stack.push(location);
count++;
while(!stack.isEmpty()){
int[] peek = stack.peek();
boolean flag = false;
// 현재 좌표를 기준으로 상 하 좌 우 확인
for(int i = 0; i < 4; i++){
int ny = peek[0] + dy[i];
int nx = peek[1] + dx[i];
/*
* 상 하 좌 우 검사 시 배열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지 확인
* 방문한 적이 없는 집인 경우 stack에 push하고, 해당 좌표를 방문 처리
*/
if(isBound(new int[]{ny, nx}) && visited[ny][nx] == false && map[ny][nx] == 1){
stack.push(new int[]{ny, nx});
visited[ny][nx] = true;
flag = true;
count++;
break;
}
}
// 근처에 더 이상 방문할 집이 없을 경우 stack에서 pop
if(!flag){
stack.pop();
}
}
return count;
}
// 상 하 좌 우를 검사 할 때 배열의 길이를 넘는지 확인해주는 함수
static boolean isBound(int[] location){
if((location[0] >= 0 && location[1] >= 0) &&
(location[0] < map.length && location[1] < map[0].length)){
return true;
}
return false;
}
}
깊이 우선 탐색(DFS) 혹은 넓이 우선 탐색(BFS)을 이용하면 해결이 가능한 문제였다.
개인적으로 탐색 문제를 풀 때, DFS와 BFS모두 풀이가 가능할 경우에 BFS를 이용하는 게 개인적으로 이해하기 쉬워서 BFS를 더 선호하는 편인데, DFS가 아직 익숙하지 않아서 DFS로 풀어보았다.😁
탐색 문제를 좀 더 풀어보다가, DFS도 익숙해질 때쯤 백트래킹 문제도 도전해 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