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가 의도하지 않은 대상에게 노출되는 상황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민감한 데이터가 외부에 유출되어 기밀성이 훼손되는 경우가 해당된다.
데이터나 시스템이 비인가된 상태에서 변경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무결성을 침해하는 행위로, 데이터가 원본 상태와 다르게 변조되거나 삭제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자신의 정체를 숨기거나 다른 사용자를 사칭하는 행위를 말한다. 이를 통해 공격자는 시스템에 비인가된 접근을 시도하거나, 데이터에 부정하게 접근할 수 있다.
시스템이나 데이터에 대한 비인가된 접근을 시도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이는 기밀성을 침해하며, 민감한 정보가 외부에 유출될 위험을 증가시킨다.
사용자가 자신의 행위를 부인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어떤 작업을 수행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부인하는 상황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추적성을 위협할 수 있다.
무결성(Integrity)
가용성(Availability)
기밀성(Confidentiality)
인증(Authenticity)
책임(Accountability)
보안 서비스는 보안 메커니즘에 의해 구현된다.
보안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 특정 보안 메커니즘 (Specific Security Mechanisms)
통신 개체가 주장하는 것처럼 정말로 그 당사자인지를 확인해주는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 인증(Authentication)
- 암호화(Encryption)
- 디지털 서명(Digital Signatures)
- 일반 보안 메커니즘 (Pervasive Security Mechanisms)
특정 계층에 국한되지 않고 전반적으로 적용되는 보안 메커니즘이다.
- 접근 제어(Access Control)
- 보안 감사(Security Audit)
- 복구 가능 보안 메커니즘 (Reversible Mechanisms)
: 침해가 발생한 이후에도 복구 가능한 메커니즘이다.
- 복구 불가 보안 메커니즘 (Non-reversible Mechanisms)
: 침해 발생 시 역으로 추적할 수 있는지 여부에 중점을 둔다. 이는 추적 가능성과 예방적 조치에 해당한다.
Economy of mechanism
complete mediation - 모든 접근은 검증이 필요하다.
Separation of Privilege - 권한은 모두
Least Privilege(role-based) - 최소한으로 권한을 줘라
Lease Common Mechanism - 공유를 최소화 해라
Attack Surface: 시스템 취약점
Attack Tree: 취약점을 찾기 위한 잠재적 기술들